재명석등 ()

목차
관련 정보
광주 재명석등 정면
광주 재명석등 정면
건축
유적
문화재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고려전기 8각 간주형 석등.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고려전기 8각 간주형 석등.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74년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원래는 옛 광주읍성의 남문 안 대황사(大皇寺)라는 사찰의 유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도청 앞 무덕전(武德殿)의 앞마당 담장 안으로 옮겨왔으며 1968년금남로(錦南路) 확장공사로 무덕전 건물이 개축되면서 현위치로 옮겨지게 되었다.

석등의 조영시기는, 8각석주로 간석(竿石)을 세우는 기법과, 간주(竿柱)에 명문을 새기는 기법으로 볼 때 ‘大安九年(고려 선종 10년, 1093)’명이 있는 나주서문석등(羅州西門石燈, 현 경복궁 소재)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고려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간주 명문에 나타난 ‘聖壽天長□□戊辰□五(성수천장□□무진□5)’의 무진년은 1028년, 1088년, 1148년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석등은 8각간주형으로 기대부와 상륜부가 다소 결실된 상태인데, 지대석 위에 지복석(地覆石)이 멸실된 채 하대하석(下臺下石)이 올려지고, 그 위에 8엽복련화문(八葉伏蓮花文)을 새긴 하대석이 놓였으나 마멸이 심하다.

하대석 위에는 긴 8각간주를 세우고 상대석으로 8엽앙련화문(八葉仰蓮花文)의 상대석을 올렸으며 간판(間瓣)은 꽃술형이다. 상대석 위에는 두툼한 화사(火舍) 받침 위에 8각 화사석을 올렸으며 화사석 사면에는 불을 밝히는 장방형의 화창을 설치하였다.

상대석 위에는 상대보다 작은 8각 옥개석을 올려 등신(燈身)을 마감하고 있다. 옥개석 상부의 상륜부에는 복발(覆鉢)과 앙화(仰花)가 통석재(通石材)로 올려졌으며, 보주(寶株)는 다른 석재로 보완하였다.

참고문헌

『무등산』(광주직할시 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88)
「광주향토문화총서」제6집-광주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 199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익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