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금문 ()

목차
관련 정보
평양 전금문 정면
평양 전금문 정면
건축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 모란봉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평양성 북성(北城)의 남쪽 문(門).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 모란봉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평양성 북성(北城)의 남쪽 문(門).
내용

북한의 국보문화유물 제22호. 문루의 크기 정면 3칸, 측면 2칸. 평양성 북성(北城)의 남문이다. 평양성은 성 안이 4개 구역으로 나뉘어 내성·중성·외성·북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성문은 대개 성들의 사방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북성만은 남·북에만 설치하였는데, 남문이 전금문이고 북문이 현무문(玄武門)이다. 따라서 평양성에는 15개의 큰 문과 그밖의 사잇문들이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성문으로는 대동문(大東門, 내성의 동문), 칠성문(七星門, 내성의 북문), 보통문(普通門, 중성의 서문), 그리고 북성의 남문과 북문으로 전금문과 현무문이 있다.

이 전금문은 6세기 중엽에 처음 지었고, 1714년(숙종 40)에 고쳐 지었다. 문은 모란봉 기슭에 있는 대동강과 청류벽(淸流壁)을 따라 흥부동쪽으로 가다가 영명사지(永明寺址)로 올라가는 입구에 있다.

성벽을 二자형으로 어긋나게 쌓고 그 사이를 막아서 무지개문[虹霓門]을 냈다. 문에는 본래 쇠조각을 붙인 널문을 달아, 밑에는 막음돌을 꽂고 위에는 빗장을 질러 잠그었다고 한다.

문루는 흘림기둥 위에 2익공 주도리식 두공(枓栱)을 얹었으며 살미[山彌]는 길게 뽑았다. 이 건물은 그 규모에 비하여 힘받이 부재들을 굵게 하고 단청은 비교적 간단하게 하였다.

전금문은 성벽을 어기어 쌓은 사이에 문을 마련함으로써 전투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며, 불시에 밖으로 나와 적을 공격하는 데 유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6·25 때 소실되고 홍예문의 축대만 남았으나 1959년에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재관리국, 1985)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북한의 문화유적순례』(양태진, 백산출판사, 199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