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해 ()

정시해
정시해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최익현의병부대의 소모장 겸 중군장으로 활동한 의병.
이칭
낙언(樂彦)
일광(一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2년(고종 9)
사망 연도
1906년(고종 43)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전라북도 고창
정의
대한제국기 최익현의병부대의 소모장 겸 중군장으로 활동한 의병.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낙언(樂彦), 호는 일광(一狂). 전라도 고창 출신. 아버지는 정종택(鄭鍾澤)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이다. 기우만(奇宇萬)과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5년 말 시묘(侍墓)를 마치고 하산하자, 을사조약으로 국권이 일본에 넘어간 것을 개탄하고 최익현을 찾아갔다. 당시 토적소(討賊疏)를 올리다 지친 최익현은 정시해에게 영남지방의 지사를 규합하여 의병 봉기를 준비하도록 하였다.

경상도 일대를 누비며 동지 규합을 위해 동분서주하면서 나라를 잃은 미친 백성이란 뜻으로 실국광민(失國狂民)이라 자칭하고, 일광이라 자호(自號)하였다.

1906년 봄 태인으로 최익현을 찾아가 영남의 민심 동향과 지사들의 반응을 보고하고 거의모사(擧義謀事)에 참여하였다. 영남과 호남의 의병이 함께 봉기할 것을 통고하기 위해 다시 영남으로 떠나 19일 만에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최익현의 의거 소식을 듣고 모여든 지사와 포수(砲手)는 날로 늘어나, 지방관아의 무기를 접수하고 군량을 확보해 의병대의 병력은 800여 명에 이르렀다. 6월 5일 최익현 의병대의 소모장 겸 중군장(召募將兼中軍將)으로 태인을 출발하였다.

6월 6일에는 순창 구암사(龜巖寺)로 진을 옮기고, 이튿날 순창성 밖에서 일본군 10여 명을 사살하고 전열을 정비하여 6월 8일에는 곡성으로 진출하였다.

6월 10일 순창으로 회군해 포진 중, 6월 11일 일본군과 합세한 전주 · 남원의 진위대(鎭衛隊)와 충돌하다가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면암집(勉菴集)』
『매천야록(梅泉野錄)』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유공자공훈록』1(국가보훈처, 1986)
『독립운동사』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