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이만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이만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51년 후손 호(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광소(尹光紹)의 서문이, 권말에 호와 오계수(吳繼洙)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에 있다.

권1에 시 58수, 권2에 표(表) 2편, 권3에 부록으로 행장·서후(書後)·묘갈명·사우개기문(祠宇開基文)·상량문·봉안문·축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어가 다단 청초하며, 경물시(景物詩)·감상시(感想詩) 등에서 특히 그 묘사가 뛰어남을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두견화를 읊은 시는 대표적인 작품이며, 「개성태평관운(開城太平館韻)」에는 황량한 고도(古都)의 편모가 잘 나타나 있다.

표의 「청행십과취사법(請行十科取士法)」은 1538년(중종 33) 저자가 별시(別試)의 과제(科題)로서 문(文)·무(武) 양반을 채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한 글로, 그 내용이 간결하며 조리가 있다. 부록 중의 「사우개기문」은 저자의 사우를 세우기 위하여 행하는 고유문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