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은 머리 위에 팔각형의 보개(寶蓋)가 올려져 있는 거불이다. 복판복련(複瓣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겹잎의 연꽃)이 새겨진 타원형의 자연석 위에 1단의 대(臺)를 올리고 그 위에 안치되어 있다. 얼굴은 네모나며, 위엄 있지만 인상은 원만하다.
반개(半開)한 두 눈은 아래로 내리뜨고 세모꼴을 이루는 코는 우뚝한 편이다. 아래위로 크게 주름진 도톰한 입술에서는 양감이 느껴진다. 귓바퀴가 뚜렷한 장대한 두 귀는 어깨까지 닿는다. 늘어진 턱 아래로는 삼도(三道)가 둔중하게 새겨져 있다. 불신(佛身)은 딱 벌어진 어깨에 당당한 체구 각부의 균형이 적절하다.
대의는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 형식이며, 수직으로 떨어지는 옷자락이 묵직하다. 듬성듬성 접혀진 상박의 평행 옷주름은 팔을 타고 내려와 오른 손목을 감은 다음 천천히 아래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깊숙이 파진 가슴 아래로는 굵은 V자형 옷주름이 쏟아지고 있다.
발목 부위에는 홈을 파듯 거칠게 새긴 성근 수직선으로 군의(裙衣) 자락을 나타내었다. 끝단 사이로 양 발끝이 노출되어 있는데 오른발은 나중에 새로 조성한 것이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몸 앞에 대고 왼손은 앞쪽으로 비켜 내려 여원인(與願印)을 결했다. 통통한 손바닥과 길쭉한 손가락에서 둔한 양감이 느껴진다.
이 불상 조각 수법과 옷자락 무늬 형태, 당당한 체구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천안 용화사 석불입상이나 예천 동본동 석불입상과 상당히 유사하다.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또한 이 불상은 미륵불로 전해 오고 있다. 통일신라 말부터 미륵하생 신앙(彌勒下生信仰)의 유행으로 조성된 거대한 규모의 여러 미륵존상 가운데 하나일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배례석, 석등의 대석과 간주석으로 생각되는 석물들이 전하고 있다. 전해 오는 이야기로는 이곳이 신라 성덕왕 1년에 창건된 선조사(善祖寺)라는 사찰터라고 한다. 그러나 현존 유물의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 말 고려 초엽이라고 생각된다.
중원 지역은 일찍부터 교통의 요지였으며 신라 말 고려 초의 후삼국이 각축을 벌이던 곳이다. 이 불상의 규모나 절터의 석조물로 미루어 볼 때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 경영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