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익공계(翼工系) 팔작지붕건물.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초상을 봉안하던 건물이다. 조선시대에는 역대 임금을 제향(祭享)하는 건물로 궁궐 밖에 종묘(宗廟)가 있고 궁안에 선원전을 지었으며, 선원전은 경복궁에도 있었고 창덕궁에도 마련되었다.
왕은 삭망(朔望)에 선원전에 나와서 친히 분향·배례를 하며 탄신일에는 차례(茶禮)를 드렸다. 선원전은 1695년(숙종 21)에 처음 마련되었는데, 본래 춘휘전(春輝殿)이라는 건물로, 도총부(都摠府)가 있던 자리에 1656년(효종 7) 경덕궁의 경화당을 옮겨지은 것이다. 그 위치는 인정전(仁政殿)의 서쪽으로, 인정전과는 월당·부속사를 경계로 근접하여 있었다.
여기에는 뒤에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의 어진(御眞)이 봉안되었었다. 그러나 1921년에 창덕궁 후원 서북쪽에 선원전을 새로 지어 어진을 이곳으로 옮긴 뒤로는 구선원전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궁내에 소장된 주요 유물들을 보관하는 창고로 쓰이고 있다.
건물은 장대석 세벌대의 높은 기단 위에 초석과 방주(方柱)를 세워 창방을 끼우고 쇠서 두 개를 결구한 2익공집이다. 전면과 측면의 어간과 협간에는 사분합 井자살문을 달고 후면에서는 어간과 좌우로 한 칸씩 건너 사분합문을 달고 나머지는 벽체로 마감하였다.
익공의 쇠서는 앙서(仰舌)로서 강직하며 안쪽에서는 초각된 보아지를 놓아 퇴보를 받치고 있다. 퇴칸 안쪽으로는 고주(高柱)를 세우고 초각된 몰익공으로 대들보를 받치며 대들보 윗몸에 붙여 우물천장을 가설하였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지붕에는 각 마루를 양성하고 취두·용두·잡상을 두었다.
선원전은 구조적으로 간결하고 불필요한 장식이 가미되지 않은 건물로서, 조선시대 왕실의 제사용 건물의 유례로 중요하다. 이곳에 봉안되었다가 새로 지은 선원전에 옮겨졌던 어진은 1950년 6·25전쟁 중 불타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