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복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백제 사비기의 대신.
이칭
별명
정복(貞福)
성명
사택천복(沙宅千福), 사타천복(沙吒千福)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대좌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복은 삼국시대 백제 사비기의 대신이다. 백제 멸망 시까지 핵심적인 정치 세력인 사씨(沙氏) 출신으로서 대좌평을 역임하였다. 신라와 당 연합군의 침공으로 사비 도성이 함락될 때 항복하여 의자왕과 태자, 대신 및 장수, 일반 백성과 함께 당에 포로로 잡혀갔다.

정의
삼국시대 백제 사비기의 대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사씨이다. 『 삼국사기태종무열왕 7년조에는 대좌평 천복, 『일본서기』 제명 5년 7월조에는 대좌평(大佐平) 사택천복(沙宅千福), 「 당평백제비(唐平百濟碑)」에는 사타천복(沙吒千福)으로 나온다. 사택 또는 사타씨는 사씨를 복성의 형태로 표기한 것으로, 웅진천도(熊津遷都) 이후 본격적으로 중앙 정치에 참여하였으며, 사택천복 외에도 사택기루(沙宅己婁), 사택지적(沙宅智積) 등이 대좌평을 역임할 정도로 백제 멸망 때까지도 핵심적인 정치 세력이었다.

주요 활동

『삼국사기』 태종무열왕 7년조에 따르면, 백제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침공을 받아 660년 7월 13일 사비 도성이 함락될 때 의자왕은 여러 신하를 데리고 도망갔고, 대좌평이었던 사택천복은 의자왕의 아들 융(隆)과 함께 성을 나와 항복하였다.

『일본서기』 제명 5년 7월조의 세주에 인용된 『이길련박덕서(伊吉連博德書)』에는 11월 1일에 소정방 등에게 잡힌 백제의 왕 이하 태자 융 등 여러 왕자 13명, 대좌평 사택천복, 국변성(國辨成) 이하 37명 모두 50여 명을 조정에 바쳤는데, 천자가 은칙을 내리고 그 자리에서 풀어주었다고 한다. 「당평백제비」에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한 뒤 의자왕과 태자 융, 외왕 효(孝)를 포로로 잡아갈 때 대수령 대좌평 사타천복과 국변성도 모두 당에 연행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천복은 대수령(大首領)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660년 7월 사비 도성이 함락될 때 왕과 함께 나와서 항복한 대표적인 귀족 관료로서, 660년 9월 3일 사비를 떠나 당으로 돌아가는 당나라 군대를 따라 낙양으로 끌려가서 11월 1일에 황제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의자왕 20년조에는 왕과 왕자만이 아니라 대신과 장수 · 병사 88명과 백성 12,807명이 당나라 수도에 보내졌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일본서기(日本書紀)』
「당평백제비」

단행본

강종원, 『백제 국가권력의 확산과 지방』(서경문화사, 2012)

논문

장미애, 「백제말 정치세력과 백제의 멸망」(『백제연구』 58,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김영관, 「대당평백제국비명에 대한 고찰」(『역사와 담론』 66, 호서사학회, 2013)
김영관, 「의자왕의 압송 과정과 당에서의 행적」(백산학보』 85, 백산학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