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차산농악 ()

목차
관련 정보
청도 차산농악
청도 차산농악
국악
작품
국가유산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 전승하는 농악.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청도차산농악(淸道車山農樂)
분류
무형유산/전통 놀이·무예/놀이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무형유산(1980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청도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 전승하는 농악.
내용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 전승하는 농악. 1980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80년 12월에 지정되었다. 차산리는 속칭 신라고촌(新羅古村)이라 일컬어지는 유서 깊은 고을로 130여 가구 모두 농사에 종사하는 각성바지 마을이다. 경남과 도의 경계에 위치한 관계로 음력 정월 11일경이 되면 면내의 두레뿐만 아니라 고개 넘어 경남 창녕군의 두레들도 참여하여 많을 때는 15∼16개 마을이 장터에서 천왕기(天王旗) 싸움을 벌였다.

차산농악은 이러한 서낭기싸움과 지신밟기 등을 기초로 발전한 농악이라 하겠다. 유능한 상쇠이자 선소리꾼인 김오동(金五同:1922년생, 토착민)의 열의로 차산농악은 건실하게 지켜져 왔다.

쇠가락엔 질굿 · 자진모리 · 조름쇠 · 천왕굿가락 · 무정작궁 · 덧뵈기 · 호호딱딱 · 부정굿가락 · 굿거리(살풀이) 등이 있다.

차산농악은 지신밟기 가사가 다양하고 천왕기의 존재, 비교적 가락이 빠른 점, 호호딱딱 기타 판굿에 특이한 진풀이가 있는 점, 노래하는 농사굿이 있는 점 등이 특색으로 꼽힌다. 잡색으론 포수, 양반, 색시가 있다. 판굿 편성은 아래와 같다.

  1. 굿거리굿(춤굿):세 줄 횡대로 서서 인사한 다음, 시계 반대방향으로 한 줄로 행진하면서 굿거리장단에 덧뵈기 춤을 춘다. 쇠꾼들이 원의 중심으로 들어가 무정작궁을 치며 정(井)자로 서서 재비들을 지휘한다. 2. 부정굿:두 줄로 원진한다. 3. 호호딱딱

  2. 자진모리(막조우기):시계 반대방향으로 계속 원진. 5. 물레굿(미영잦기):처음엔 2인이 한 조로 돈 다음(2석), 3인이 한 조(3석), 4인이 한 조(4석)로 돈다. 6. 진굿:두 줄로 원진(2석) · 세 줄 원진(3석) · 네 줄 원진(4석)하다가 다시 이를 차례로 푼다. 7. 농사굿(법고수들이 연희한다. 풍농을 기원하는 경축행사):① 씨뿌리기 ② 모찌고 모심기(모노래 가창) ③ 논매기 ④ 벼베기 ⑤ 벼타작 ⑥ 벼 끌어 모으고 티끌 날리기 ⑦ 노적쌓기

  3. 개별놀이:① 장구 ③ 열두발 상모 등. 9. 조름굿:시계 반대방향으로 원진하며 신나게 쇠를 몬다. 10. 오방진굿(둘둘말기):천왕기 · 농기 · 쇄납 · 나무 나발 등을 한가운데 두고 조름쇠를 치며 나선으로 돌면서 5방에다 각기 똘똘말이를 한 다음 이를 푼다.

참고문헌

『경북무형문화재대장』(경북도청)
『농악』(정병호, 열화당, 198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