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연각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예종 때 설치되었던 비각(秘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예종 때 설치되었던 비각(秘閣).
내용

문신들과 더불어 6경(六經)을 강론하고 문예와 예악으로써 유학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일종의 궁중 도서관이다. 위치는 궁궐 북쪽에 위치한 자화전(慈和殿)의 서쪽이었다.

소장 도서는 경(經)을 중심한 사(史)·자(子)·집(集) 등으로서 송(宋)나라의 서화류도 소장되어 있었다. 관원으로는 학사(學士 : 종3품) 1인, 직학사(直學士 : 종4품) 1인, 직각(直閣 : 종6품) 1인, 교감(校勘) 4인이었다.

당시 임명된 각신으로는 학사에 홍관(洪灌), 직학사에 정극공(鄭克恭), 직각에 윤해(尹諧) 등의 명사가 있었다. 그 위치가 궐내에 있었던 탓으로 학사의 직숙(直宿) 출입이 매우 어려워서 홍루(紅樓) 아래에 남랑(南廊)을 수리하여 학사의 회강당(會講堂)을 만들고 이를 ‘정의당(精講義堂)’이라 이름하였다.

그 좌우에 휴식소를 만들고 여기에 장서를 이동하여 ‘보문각(寶文閣)’이라 고쳐 불렀으며, 청연각학사를 충원하고 시직제(侍直制)를 증원하여 금자(金紫)를 하사하였다.

따라서 청연각은 1116년(예종 11) 8월에 설치되었다가 겨우 3개월 만인 그 해 11월에 보문각으로 옮긴 셈이다. 당시에 청연각학사는 보문각으로 옮겼고, 또한 역대왕이 하사한 조서(詔書)류가 있었으니 청연각에 있었던 경사자집의 전적은 보문각에 옮겼을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해동역사(海東繹史)』
『고려도경(高麗圖經)』
『청연각기(淸讌閣記)』
『동국통감(東國通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