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비중리 석조 여래삼존상 및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삼국시대 에 조성된 석조 불상. 보물.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삼국시대 에 조성된 석조 불상. 보물.
내용

201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삼국시대의 불상 예로는 처음 조사된 석조삼존불좌상(石造三尊佛坐像)이다. 심하게 파손되었지만 청주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 삼존불상은 본존불과 협시보살, 단순한 두광(頭光) 그리고 화불(化佛)을 좌우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현좌(裳懸座) 아래에 삼존불과 사자(獅子)를 배치한 구도를 보여 준다.

본존불은 타원형의 상체, 턱과 양 무릎을 연결하는 정삼각형적인 안정된 형태, 큼직한 손, U자형으로 무릎을 덮으며 좌우로 내려진 천의(天衣)가 상현좌를 이루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고졸한 불상 양식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백제 불상인 군수리(軍守里)납석불좌상이나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출토 납석삼존불상 등에서 볼 수 있다. 중국의 경우 6세기 초반기의 용문 불상(龍門佛像)을 대표하는 중국화된 양식과 친연성이 있다.

협시보살상 역시 머리칼, 상체의 장식성, X자형 옷주름 등이 동위(東魏)의 금동보살상과 흡사하다. X자형 옷자락 무늬는 6세기 초반기의 특징적인 형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분황사탑의 인왕상이나 비암사비상보살(碑巖寺碑像菩薩) 등의 예처럼 7세기에도 가끔 나타나지만 6세기의 특징적인 형식임에는 틀림없다. 중첩된 광배 형식에서도 6세기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석불입상의 형태는 추상화된 경향이 좀더 짙게 나타난다. 신체의 굴곡은 대체적인 윤곽선밖에 알 수 없는데 석주(石柱)를 적당히 다듬어 몸체를 표현하고 얼굴과 손 그리고 옷자락 무늬를 조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손의 처리, 손과 손의 간격, 짧은 상체 등에서는 비사실미(非寫實味)가 짙게 나타나 연가7년명(延嘉七年銘) 불상보다도 더 고졸한 면을 보여 준다. 이것은 석조각의 기술적 한계 때문일 것이다.

형식이나 양식상으로 볼 때 6세기 중엽 내지 후반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또한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6세기 전반기는 고구려가 50여 년간 점령하였으며 후반기는 신라의 영토였기 때문에 국적을 판별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6세기 후반기에 제작된 것이라면 진흥왕의 영토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어 그 역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현황

2019년 3월 11일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문화재 구역 및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청원비중리삼국시대석불상의 연구」(문명대,『불교학보』19, 1982)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