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초간정 ( )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에 있는 조선전기 초간 권문해가 건립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이칭
이칭
초간정사(草澗精舍)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예천 초간정(醴泉 草澗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3년 04월 08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경천로 874 (용문면, 초간정(문화유적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예천 초간정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에 있는 조선 전기 초간 권문해가 건립한 누정이다. 초간 권문해(1534∼1591)가 1582년에 건립하였다. 이후 화재로 불타 현재의 초간정은 1739년에 지은 것이다. 초간정은 절벽 위에서 금곡천의 경관을 확보하고 있다.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다. 남쪽에 초간정사, 북쪽에 초간정, 동쪽에 석조헌이라고 쓴 편액이 각각 걸려 있다. 이 가운데 '초간정사' 편액은 권문해가 처음 정사를 지을 때 박승임이 쓴 것이다. 초간정은 인공적인 원림과 조화를 이루도록 세운 독특한 누정이다.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에 있는 조선전기 초간 권문해가 건립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개설

1582년(선조 15)에 건립된 누정(樓亭)으로,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승격 지정되었다. 2008년 명승으로 지정된 예천 초간정 원림(園林)과 잘 어울리는 건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 변천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1582년(선조 15)에 말년의 생활을 보내고자 원림을 조성하면서 함께 건립하였다. 당시의 이름은 초간정사(草澗精舍)라고 불렀는데,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 1517∼1586)이 지었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불탔다가 1626년(인조 4)에 권문해의 아들인 죽소(竹所) 권별(權鼈)이 다시 건립하였는데, 이 역시 화재로 불타고 말았다. 오랫동안 고치지 못하였다가, 1739년(영조 15)에 현손인 권봉의(權鳳儀)가옛 터에 집을 짓고는 바위 위에도 정자 3칸을 세웠다. 지금의 건물과 원림 배치는 이 때 만들어졌다. 그 뒤 1870년(고종 7)에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포함한 권문해의 유고(遺稿)를 보관하기 위해서 거듭 고쳤지만, 예천 권씨 초간 종택에 백승각(白乘閣)을 지어 이를 다시 옮기면서 지금은 비어 있는 상태이다.

내용

현재의 초간정은 1739년에 지은 건물을 일컫는데, 주변의 원림 속에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금곡천(金谷川)을 바라보는 경관을 확보하려고 절벽 위에 지었기에, 북쪽과 서쪽은 담장이 없이 개울에 바로 붙어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올린 모습이다. 자연석으로 쌓은 받침 위에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주춧돌로 놓고서 네모난 기둥을 세운 다음 5개의 도리로 꾸몄다. 기둥을 이은 창방(昌枋)과 도리를 받친 장여(長欐) 사이에 네모난 소로[小累]를 끼워 소박하게 장식한 소로수장(小櫨修粧)집이다. 앞면 3칸 가운데 왼쪽 2칸은 온돌방으로 만들었고, 개울 쪽으로 향한 3칸과 온돌방의 옆면 1칸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건물 4면에는 정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온돌방과 그 옆벽에는 칸마다 2짝의 세살 여닫이문을 달았고, 개울 쪽의 판벽에는 2짝의 판문을 달았다. 북쪽 면은 시야를 확보하려고 창호를 달지 않았다.

처마에는 남쪽에 초간정사, 북쪽에 초간정(草澗亭), 동쪽에 석조헌(夕釣軒)이라고쓴 각기 다른 편액이 걸려 있다. 이 가운데 초간정사라고 쓴 편액은 권문해가 처음으로 초간정사를 지을 때 박승임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징

이 누정은 주변의 원림과 조화를 이루는 건물이다. 곧 권문해가 초간정사를 건립할 때 기록하였던 『초간일기(草澗日記)』에서 확인되듯이, 단지 원림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건물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경관을 즐기고 낚시를 하는 등의 구체적 목적을 가지고 원림과 함께 인공적으로 어울릴 수 있도록 건립된 것이다. 대부분의 정자들이 주로 자연 경관이 좋은 곳에 지어진 것과 달리, 인공적으로 만든 경관에 잘 어울리게 세운 독특한 누정이다.

참고문헌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
『초간일기(草澗日記)』(권문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한국의 전통건축』3─누정건축─(대한건축사협회, 1996)
「16세기 사대부의 개인거처 마련과 상택」(정정남, 한국건축역사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2004.11)
국가유산청(www.khs.go.kr)
유교넷(www.ugyo.net)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