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형식을 갖춘 석조부도로, 현재 중대석받침 및 중대석과 탑신석의 위치가 바뀌어 있는데, 이를 바로 복원하면 완전한 형식의 팔각원당형 석조부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지대석으로부터 옥개석에 이르기까지 팔각형의 평면을 유지하고 있는데, 각 부재는 각각 하나의 석재로 조립되어 있다. 지대석의 각 면에는 1구씩의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하대석의 측면에는 판이 넓은 복엽(複葉) 8판의 복련(覆蓮)이 새겨져 있으며, 간지에는 간엽(間葉)이 표현되어 있다. 상면에는 각형 3단의 중대석받침을 조출하고 있다. 중대석 위에는 탑신석(塔身石)이 놓여 있고, 탑신석의 전후면에는 자물통이 돋을새김된 문비형(門扉形)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상대석은 뒤집어진 상태인데, 측면에는 판이 넓은 복엽8판의 앙련(仰蓮)이 새겨져 있으며, 간지에는 간엽이 표현되어 있다. 하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탑신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탑신석의 위치에는 중대석과 받침석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중대석의 각 모서리에는 우주(隅柱)만 새겨져 있을 뿐 별다른 조식은 없다. 상면에 놓인 중대석 받침은 별개의 석재로 조성되었는데, 널찍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좁아지는 형태이다.
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가 급한 편으로, 합각부는 두툼하게 처리하였다.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낮게 반전되어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정상부에는 복발(覆鉢)로 보이는 석재가 놓여 있는데,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의 상륜부재로 생각된다.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