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형식을 갖춘 석조부도로, 지대석(地臺石)과 하대석(下臺石)이 1석으로 조성되었을 뿐, 나머지 부재는 각각 별석(別石)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대석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는 팔각형의 평면을 유지하고 있다. 방형(方形)의 지대석 상면에 있는 하대석의 측면에는 판이 넓은 복엽(複葉) 8판의 복련(伏蓮)이 조식되어 있는데, 간지에는 간엽(間葉)이 표현되어 있다. 중대석(中臺石)은 각 모서리에는 우주(隅柱)만 새겨졌는데, 비교적 높게 조성되어 있다.
상대석(上臺石)은 뒤집어진 상태인데, 하면과 상면에는 각각 각형(角形) 1단의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상대석의 측면에는 판이 넓은 복엽 8판의 복련이 조식되어 있으며, 간지에는 간엽이 표현되어 있다.
탑신석은 하면에 비해 상면이 좁아 사다리꼴의 형상을 보이고 있는데, 현재의 모습은 뒤집혀진 것으로 생각된다. 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한 편으로, 합각부는 두툼하게 처리하였다.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살짝 반전되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정상부에는 보개(寶蓋)와 보주(寶珠)가 놓여 있다.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반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