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야 ()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정철(鄭澈)이 지은 한시.
이칭
이칭
산사야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정철(鄭澈)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절구로 『송강집속집(松江集續集)』 권1에 ‘산사야음(山寺夜吟)’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고, 『대동시선(大東詩選)』 권3에는 ‘추야’란 제목으로 선록되어 있다.

내용

“우수수 낙엽 소리에/빗발 뿌리나 싶어서/중(아이) 불러 문밖에 나가 보랬더니/시내너머 나무에 밝은 달 걸렸다고(蕭蕭落葉聲 錯認爲疎雨 呼僧(童)出門看 月掛溪南樹).”

이 시는 구양수(歐陽脩)의 「추성부(秋聲賦)」에서 “내가 한밤에 글을 읽다가 서남쪽서 오는 소리를 들었네……동자에게 ‘이 무슨 소리냐, 나가서 보고와라’ 했더니, 동자 말하길 ‘별과 달은 하늘에 맑고 은하수 드리웠는데, 사방을 둘러봐도 사람의 소리 없으니, 그 소린 나뭇가지 소립니다’ 하였다(歐陽子方夜讀書 聞有聲自西南來者…予謂童子此何聲也 汝出視之童子曰 星月皎潔 明河在天 四無人聲 聲在樹間).”는 글귀에서 뜻을 취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유몽인(柳夢寅)은 『어우야담』에서, 자신이 천정사(泉精寺)에서 폭포소리를 빗소리로 착각하여 지은 시의 “한밤중 좌락좌락 비내리나 싶더니/스님 말이 폭포가 돌뿌리 씻는 소리라 하네(中宵錯認千林雨 僧道飛泉灑石磯).”와 정철의 이 시가 우연히 의사가 합치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 시는 자연과 친애하면서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반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송강정철의 한시연구」(김갑기, 동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