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헌집 ()

목차
관련 정보
퇴헌집(1)
퇴헌집(1)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전극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3년에 영인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전극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3년에 영인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영인본. 1983년 7대손 도한(道漢) 등이 필사본으로 전하여오던 유고를 모아 편집, 영인하였다. 권두에 민경호(閔京鎬)의 서문이, 권말에 후손 국렬(國烈)과 도한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85수, 소(疏) 2편, 정문(呈文) 1편, 서(書) 2편, 제문 1편, 발(跋) 1편, 권2는 부록으로 시 1수, 만(輓) 69수, 제문 2편, 서(書) 11편, 가장·묘갈명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입산시육십사운(入山詩六十四韻)」은 오언체의 장시로 산천의 풍경을 운치있게 읊고 있는데 표현기교가 높고 서정이 두드러진다. 「순사산회로부일절(巡四山回路賦一絶)」은 칠언율시로 사산감역으로 있을 때 백악산(白岳山)을 순회하면서 자기의 심적 갈등을 은연중 표현한 시이다.

소의 「선사변신소(先師卞伸疏)」는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의 신원(伸寃)을 건의하는 상소문이다. 「정예조문(呈禮曹文)」은 삼가현감으로 있을 때 포곡(布穀)의 출납에 관하여 어사의 무고를 받아 이를 해명하는 글이다.

후임으로 온 현감 이항(李恒)에게 보낸 서찰도 자기가 현직에 있을 때 있었던 환곡(還穀)의 수수관계를 자세히 설명하여 어사의 무고와는 다름을 밝힌 내용이다. 부록에는 송시열이 저자에게 보낸 서찰을 비롯하여 당시의 명사들이 쓴 글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 그의 교우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