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락정 ()

목차
관련 정보
팔락정
팔락정
건축
유적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에 있는 조선전기 창녕현감 정구가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에 있는 조선전기 창녕현감 정구가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내용

정구(鄭逑)가 창건한 정각이다. 정구는 선조·광해군 시대의 학자로 1577년(선조 10) 창녕현감으로 부임하여 현민의 교화와 인재양성에 노력하여 큰 성과를 올렸는데, 1580년에는 팔락정을 창설하여 직접 학문을 가르치고 장려하였다.

그 뒤 오랜 세월에 허물어진 것을 1852년(철종 3) 유지들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팔락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8경으로 선정하여 그 풍경을 즐긴다는 뜻으로 지은 것이다. 단층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