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 ()

목차
관련 정보
칠현산
칠현산
자연지리
지명
한남금북정맥 칠장산에서 금북정맥과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
지명/자연지명
길이
180km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남정맥(漢南正脈)은 한남금북정맥 칠장산에서 금북정맥과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한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갈라진 한남금북정맥 칠장산(七長山)에서 시작되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강 이남 지역의 분수계를 이루는데, 한남정맥 북쪽으로는 굴포천, 안양천, 탄천, 경안천, 복하천 등이 한강으로 흘러들며, 한남정맥 남쪽으로는 안성천, 진위천, 황구지천 등이 서해로 흘러든다.

목차
정의
한남금북정맥 칠장산에서 금북정맥과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
내용

한남정맥(漢南正脈)은 『산경표(山經表)』의 1대간 1정간 13정맥 중 하나로, 한북정맥(漢北正脈)과 함께 각각 한강(漢江)의 남쪽과 북쪽 유역의 분수계(分水界)를 이루는 산줄기이다.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 문수산까지 정맥 주1의 길이는 180km에 이른다.

이 산줄기는 경기도의 한강 및 남한강(南漢江) 본류와 서울의 한강 본류 유역의 주2로서 남서쪽에 있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 시흥시(始興市) · 안산시(安山市) · 수원시(水原市) · 오산시(烏山市) · 평택시(平澤市) · 천안시(天安市)아산만(牙山灣)을 중심으로 한 해안평야지대와 한남정맥 북동쪽에 분포하는 서울특별시의 강서구(江西區) · 양천구(陽川區) · 영등포구(永登浦區) · 관악구(冠岳區) · 금천구(衿川區) · 동작구(銅雀區) · 강동구(江東區) 및 경기도의 성남시(城南市) · 광주시(廣州市) · 용인시(龍仁市) · 이천시(利川市) · 여주시(驪州市)와의 경계를 이룬다.

이중환(李重煥)은 사대부 주3를 규명한 조선 최고의 인문 지리서 『택리지(擇里志)』에서 한남정맥 북서쪽의 살만한 곳으로 여주읍 백애촌과 용인의 어비천 유역을 들었으며, 한남정맥 남서쪽으로는 안산 성곶리를 꼽은 바 있다.

한남정맥을 이룬 『산경표』상의 주요 산과 고개는 칠현산(七賢山) · 백운산(白雲山) · 구봉산(九峰山) · 대소곡돈현(大小曲頓峴) · 석륜산(石倫山) · 수유산(水踰山) · 부아산(負兒山) · 보개산(寶蓋山) · 석성산(石城山) · 객망현(客望峴) · 광교산(光敎山) · 사근현(沙斤峴) · 오봉산(五峰山) · 수리산(修理山) · 오자산(五子山) · 소래산(蘇來山) · 성현(星峴) · 주안산(朱安山) · 원적산(元積山) · 경명산(鏡明山) · 북성산(北城山) · 가현산(歌絃山) · 약산(藥山) · 문수산 등 모두 24개이다.

현대 지도상에서 산 이름을 찾아보면 칠현산 · 부아산 · 광교산 · 백운산 · 수리산 · 소래산 · 원적산 · 가현산 · 문수산 등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여기에 칠장산이 추가되었다. 나머지 지명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골프장과 공장 지대가 들어서는 등 도시화로 이제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칠장산(492.1m)은 한남금북정맥과 한남정맥, 금북정맥 등 세 정맥의 주4 원래는 칠현산(516.5m)에 속하는 봉우리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칠현산 북쪽에 있는 천년 고찰 칠장사(七長寺)가 ‘칠현산 칠장사’로 산 이름과 절 이름을 구분하고 있는 점 또한 칠장산이라는 산 이름이 후대에 칠장사라는 절 이름에서 따온 것임을 알 수 주5

한남정맥에서 가장 높은 광교산(581.2m)을 지나 백운산(567m)에서는 지지대고개(사근현)로 이어지는 정맥과 북쪽 바라산학현(하오개) 지맥 마루금이 나뉜다. 이 지맥은 청계산우면산관악산삼성산 줄기로서 안양천과 탄천(炭川)의 분수계를 주6 한남정맥 석성산(471.5m)에서 북쪽으로 뻗은 지맥은 남한산성(南漢山城) 청량산(497.1m)과 검단산(657m)으로 이어지며, 탄천과 경안천(慶安川)의 분수계를 이룬다.

지난 2012년에는 총길이 18.7km, 너비 100m, 깊이 6.3m에 달하는 경인 아라 주7이 개통되면서 한남정맥이 끊어지고 김포반도 북부(가현산~문수산 구간)가 서해와 염하, 조강, 한강 등 사면이 물로 둘러싸인 섬이 되었다. 현재 한남정맥 마루금은 꽃메산과 할메산 사이, 운하 위로 난 200여 미터의 주8로 이어진다.

참고문헌

원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대동지지(大東地志)』
『동국문헌비고 여지고(東國文獻備考 輿地考)』
『산경표(山經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택리지(擇里志)』
『팔도로표산경(八道路表山經)』
『해동지도(海東地圖)』

단행본

김동필 외, 『한국 정맥의 이해: 2015~2020 정맥 실태조사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2021)
김우선, 『산경표 톺아읽기-지명의 역사지리적 함의와 백두대간』 (민속원, 2021)
이양주, 김태현, 『경기도 한남정맥 연구』 (경기연구원, 2010)
현진상, 『한글산경표』 (풀빛, 2000)
『1대간 9정맥 1000명산 종주지도집』 (월간 사람과 산, 2009)

인터넷 자료

경인아라뱃길(https://www.kwater.or.kr/giwaterway/)
국토정보맵(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tabGb=daedong)
백두대간 첫마당(http://www.angangi.com/)
한국의 산하(http://www.koreasanha.net/)
주석
주1

산마루와 산마루를 잇는 선. 우리말샘

주2

한 근원의 물이 두 갈래 이상으로 갈라져 흐르는 경계. 대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우리말샘

주3

머물러 살 만하거나 살기 좋은 곳. 우리말샘

주4

3정맥 분기점은 칠장산 남쪽 300m 지점(N37°01'46.1", E127°23'30.6"), 해발 460m 능선 마루금상에 위치하며 한남금북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등 3정맥의 분기점을 알리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주5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조선시대 지리서와 18세기와 19세기에 각각 제작된 해동지도 죽산부 지도나 대동여지도에는 칠현산과 칠장사가 들어가 있지만 칠장산은 없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경 제작된 1대5만 지형도부터 칠장산이 표기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칠현산은 칠장산보다 불과 20여미터 높아서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두 봉우리는 사이에 중고개(374m)를 두고 남북 방향으로 불과 2km 떨어져 있으며 밋밋한 능선으로 이어진다. 2023년 현재 칠장산과 칠현산 등 안성시의 금북정맥 일원에는 국가생태문화탐방로 조성공사가 진행 중이며, 칠장사 경내 나한전 뒤편 계곡에 금강발원지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https://traveli.net/news/view.php?no=4727)

주6

이중환은 『택리지』 팔도총론 충청도편에서 칠장산에서 갈라져나간 ‘한남정맥’을 언급하고 있는데 “칠장산에서 한강을 따라 서북쪽으로 간 맥은 흩어져서 한강 남쪽의 여러 산이 되었고, 서남쪽으로 간 맥은 한 영맥이 되었다.”라는 부분이다.

주7

인천광역시 서구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잇는 운하. 서해와 한강을 연결한 우리나라 최초의 운하로, 2012년 5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18km. 우리말샘

주8

경인 아라 뱃길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해 있으며, 2000년에 준공되었다. 길이는 31.8미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