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간 ()

목차
회화
인물
조선후기 「계산만춘도」를 그린 화가.
이칭
위경(衛卿)
진재(眞齋), 수목청화관(水木淸華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83년(정조 7)
사망 연도
1829년(순조 29)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정언
목차
정의
조선후기 「계산만춘도」를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위경(衛卿), 호는 진재(眞齋) 또는 수목청화관(水木淸華觀). 1828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정언(正言)을 지냈다.

조선 후기의 같은 선비화가인 신위(申緯)와 두터운 교분을 가졌고, 유작으로는 「계산만춘도(溪山滿春圖)」(간송미술관 소장)·「중국명승첩(中國名勝帖)」(국립중앙박물관 소장)·「화조도(花鳥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조수도(鳥獸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이 알려져 있다.

‘방동현재(倣董玄宰)’라고 밝혔듯이 이 작품은 중국 명나라 말기 문인화가인 동기창(董其昌)의 화법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차분하면서도 남종화풍의 간일(簡逸)한 맛을 풍겨준다. 조선 후기의 선배 화가인 심사정(沈師正)과 이방운(李昉運)의 화풍을 따른 것이다.

참고문헌

『경수당집(警脩堂集)』
『간송문화(澗松文華) 25 -조선남종화(朝鮮南宗畵)-』(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83)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집필자
이태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