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유고 ()

목차
관련 정보
행정유고
행정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중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중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38년(헌종 4) 후손 이기영(李璣永)·이효순(李孝舜)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김도화(金道和)·이만도(李晩燾)의 서문과 권말에 이효기(李孝驥)·이효태(李孝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1수, 서(書) 7편, 기(記) 1편, 제문 2편, 권2는 부록으로 연보·행장·묘갈명·만사·제문·기(記)·개기문(開基文)·상량문·봉안문·축문 각 1편, 권3 역시 부록으로 차운시(次韻詩) 15수, 기 1편, 상량문 1편, 수연시(壽讌詩) 18수, 수연기(壽讌記) 1편, 서(序) 2편, 사우종유록(師友從遊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제행정(題杏亭)」이라는 작품은 유명하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의 치욕을 듣고 벼슬에서 물러나 소옥(小屋)을 지어 ‘杏亭(행정)’이라 편액하고 지은 시다. 자신의 청렴결백한 기개와 충의 정신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민족의 시련기에 지식인이 어떠한 자세로 처신했던가를 보여 준 작품이다.

“죽더라도 주나라 곡식을 먹지 않고/살아서는 마땅히 안빈낙도하리라/수레를 돌려 멀리 가지도 않았는데/세로(世路)는 티끌과 시끄러움이 많구나(死可飢周粟 生當掛氵+潁瓢 回車及未遠 世路多塵囂)”라는 짧은 내용이지만, 작가의 정신 세계를 응축시켜 놓은 작품으로 후대 사람들이 많은 차운시를 지을 정도로 알려진 시다.

이현일(李玄逸)과 이재(李栽)는 그와 척족(戚族)이 되기 때문에 차운시를 지었고, 이 밖에 부록에 실린 차운시가 그것이다. 또, 「수비산연구(首比山聯句)」도 저자가 영양(英陽)에서 삼종숙 시명(時明)을 방문하고 당시 유명한 홍우정(洪宇定)과 함께 지은 것으로, 당시 의리로 뭉친 선비들의 기개를 짐작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 밖에 「행정기(杏亭記)」는 저자가 당호(堂號)를 짓게 된 내력과 행정의 함의를 문답 형식으로 설명한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혈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