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분위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초 · 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五衛) 가운데 우위(右衛).
이칭
이칭
우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초 · 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五衛) 가운데 우위(右衛).
내용

고려시대 중앙군으로 육위(六衛) 가운데 하나인 금오위(金吾衛)가 고려말 비순위(備巡衛)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건국초 10위를 편성할 때 금오위와 비순위로 분리되었다.

그 중 비순위가 1394년(태조 3) 호분순위사(虎賁巡衛司)로, 이어 1409년(태종 9) 호분시위사(虎賁侍衛司)로 개칭되었다. 1418년 12사(司)로 개편할 때 다시 호분사가 되었다. 그 뒤 1451년(문종 1) 다시 오사(五司)로 개편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호분사였고, 이것이 1457년(세조 3)에 호분위로 개칭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호분위의 병종(兵種)으로는 무정수(無定數)의 족친위(族親衛)와 40명의 친군위(親軍衛), 그리고 5,000명의 팽배(彭排)가 소속되었다.

또한 경서부(京西部), 평안도의 안주진관의 군사가 중부에, 의주·구성·삭주진관의 군사 및 창성·창주·방산·인산진의 군사가 좌부에, 성천진관의 군사가 우부에, 영변·강계·벽동진관의 군사 및 벽단·만포·고산리·위원·이산·영원진의 군사가 전부에, 평양진관의 군사가 후부에 속하는 등 경성의 서부 및 평안도의 군사가 진관(鎭管) 및 진(鎭) 별로 호분위 예하의 오부에 분속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평안도 군사의 호분위 분속은 대열(大閱) 때 실제로 징발, 편성되는 지역별 편성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위(五衛)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의 군사제도(軍事制度)와 정치(政治)』(민현구, 한국연구원, 1983)
『근세조선사(近世朝鮮史) 연구(硏究)』(천관우, 일조각, 1979)
「근세조선전기(近世朝鮮前期) 군사제도(軍事制度)의 성립(成立)」(민현구, 『한국군제사-근세조선전기편-』, 육군본부, 1968)
「조선초기(朝鮮初期) 오위(五衛)의 형성(形成)」(천관우, 『역사학보』17·18합집, 196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