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세태 ()

한문학
인물
조선후기 『유하집』을 저술한 시인.
이칭
도장(道長)
창랑(滄浪), 유하(柳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3년(효종 4)
사망 연도
1725년(영조 1)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제술관|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남양감목관
정의
조선후기 『유하집』을 저술한 시인.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도장(道長), 호는 창랑(滄浪) · 유하(柳下). 아버지는 무관이었던 익하(翊夏)이며 어머니는 강릉 유씨(江陵劉氏)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홍세태는 5세에 책을 읽을 줄 알고 7, 8세에는 글을 지을 만큼 뛰어난 재주를 타고났으나 신분이 중인층이라 제약이 많았다. 시로 이름이 나서 김창협(金昌協) · 김창흡(金昌翕) · 이규명(李奎明) 등의 사대부들과 절친하게 지냈다. 임준원(林俊元) · 최승태(崔承太) · 유찬홍(庾纘弘) · 김충렬(金忠烈) · 김부현(金富賢) · 최대립(崔大立) 등의 주1들과 시회를 함께 하며 교류하였다.

홍세태는 1675년(숙종 1) 을묘식년시에 잡과인 주2에 응시하여 한학관(漢學官)으로 뽑혀 주3에 제수되었다. 1682년 통신사 윤지완(尹趾完)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1698년에 역과 합격 때에 제수된 이문학관에 실제로 부임하게 되었다. 당시 중국 사신이 우리나라의 시를 보고자 하였을 때에 좌의정 최석정(崔錫鼎)숙종에게 그의 시를 추천하여 임금에게 호감을 얻었기 때문에 그 해에 제술관에 임명되었다.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다가 1702년에 복직하였다.

홍세태는 1705년에 둔전장(屯田長), 1710년 통례원인의(通禮院引義), 1713년 서부주부 겸 찬수랑(西部主簿兼纂修郎)이 되었다. 1715년 제술관이 되었다. 1716년에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가 되었다. 그러나 곧 파직되었다. 뒤에 그가 재능과 맞지 않게 궁핍하게 사는 것을 애석하게 여긴 이광좌(李光佐)의 도움으로 1719년에 울산감목관(蔚山監牧官)이 되었다. 1722년(경종 2)에는 제술관이 되었다. 이듬해에는 남양감목관이 되었다. 문장의 재능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제술관을 특히 많이 역임하였다.

홍세태는 평생 가난하게 살았다. 8남 2녀의 자녀가 모두 앞서 죽어 불행한 생애를 보냈다. 이러한 궁핍과 불행은 그의 시풍에도 영향을 끼쳐 암울한 분위기의 시를 많이 남기고 있다. 중인 신분으로서의 좌절과 사회부조리에 대한 갈등이 시 속에 우수와 감분(感憤)을 담게 하였다. 한시에 대한 재능을 널리 인정을 받았다. 비절(悲切)하고 그윽한 서정의 세계를 표현하는 데에 특히

위항문학(委巷文學)주4의 발달에도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중인층의 문학을 옹호하는 천기론(天機論)을 전개하였다. 위항인의 시를 모아 『해동유주(海東遺珠)』라는 위항시선집을 간행하였다. 죽기 전에 스스로 자신의 시문집을 엮어 자서(自序)를 써서 부인에게 맡겼다. 1730년(영조 6)에 사위 조창회(趙昌會)와 그의 문인에 의하여 『유하집』 14권이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유하집(柳下集)』
『농암집(農巖集)』
『명곡집(明谷集)』
『이향견문록(異鄕見聞錄)』
『희조일사(熙朝軼事)』
『일사유사(逸士遺事)』
『조선평민문학사』(구자균, 문조사, 1948)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양반과 평민의 중간에 있던 신분 계급. 세습적인 기술직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던 사람들로, 15세기부터 형성되어 조선 후기에는 하나의 독립된 신분층을 이루었다. 기술관 및 향리, 서리, 토관, 군교(軍校), 역리(驛吏) 등 경외(京外) 아전과 양반에서 격하된 서얼 등이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잡과 가운데 역관을 뽑기 위한 과거. 초시는 사역원에서, 복시는 예조와 사역원에서 주재하였는데, 한학ㆍ몽학ㆍ왜학ㆍ여진학의 네 분과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승문원에 속하여 외교 문서를 처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중종 19년(1524)에 둔 것으로, 뒤에 한리학관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선조 이후에, 중인ㆍ서얼ㆍ서리ㆍ평민과 같은 여항인 출신 문인들이 이룬 문학. ≪소대풍요≫, ≪풍요속선≫, ≪풍요삼선≫의 시문집이 여기에 속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고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