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덕일 ()

황덕일의 공백당집 중 권수면
황덕일의 공백당집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역학심전』, 『효경외전』, 『사서일득록』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신수(莘叟)
공백당(珙白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8년(영조 24)
사망 연도
1800년(정조 24)
본관
창원(昌原)
출생지
미상
정의
조선 후기에, 『역학심전』, 『효경외전』, 『사서일득록』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신수(莘叟), 호는 공백당(拱白堂). 아버지는 황이곤(黃以坤)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로 조경채(趙景采)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는 성품이 호걸스러워 역사서나 병서(兵書) 등을 즐겨 읽었고, 특히 제갈량(諸葛亮)을 사모하였다.

그러다가 20세가 넘어서야 『심경(心經)』을 읽고 깨달은 바가 있어 과거공부를 폐하고 안정복(安鼎福)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언행이 바르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어머니가 죽은 뒤로는 동생 황덕길(黃德吉)과 한집에서 살면서 학문을 강론하였다.

황덕일은 “경전을 말하면서 시무(時務)에 어두우면 부유(腐儒)이고, 사공(事功)만 일삼고 천리(天理)에 어두우면 속사(俗士)이다. 오직 천리의 바름에 합하고 시무의 요점을 얻어야 왕도(王道)를 말할 수 있다.”고 하였다.

주희(朱熹)의 향약과 선현들의 법도를 따라 동약(洞約)을 만들어 마을 풍속을 바로잡았다. 당시 서학(西學)이 들어와 세상을 풍미하자 안정복의 뜻을 계승하여 『삼가략(三家略)』을 지어 이단을 배척하였다. 저서로는 『역학심전(易學心傳)』·『효경외전(孝經外傳)』·『사서일득록(四書一得錄)』·『춘추부의(春秋附義)』·『사례비요(四禮備要)』·『가례익(家禮翼)』 등이 있다.

참고문헌

『공백당집(拱白堂集)』
『하려문집(下廬文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준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