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능가사 목조 사천왕상 ( )

고흥 능가사 목조 사천왕상
고흥 능가사 목조 사천왕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능가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조성된 불교조각상. 사천왕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고흥능가사목조사천왕상(고흥능가사목조사천왕상)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명부상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0년 06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71-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능가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조성된 불교조각상. 사천왕상.
개설

2000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능가사 천왕문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4구의 사천왕상이다. 좌우 2구씩 목책 안에 안치되어 있는데, 천왕문 입구 왼쪽 앞쪽에 북방 다문천왕이, 뒤쪽에 서방 광목천왕이 배치되고, 오른쪽 앞쪽에 동방 지국천왕이, 뒤쪽에 남방 증장천왕이 배치되어 있다. 이 사천왕상 중 동방 지국천왕상에서 발견된 발원문과 능가사사적비 등에 이 사천왕상이 1666년(현종 7)에 조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사천왕상이 안치된 천왕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1995년 천왕문 해체 복원시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여 1666년에 건립된 후 1824년(순조 24)과 1931년에 중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사천왕상은 나무로 제작되었고 서 있는 입상이 아니라 의자에 걸터앉은 자세의 의좌상(椅座像)으로, 높이는 450㎝이다. 머리에는 화려한 연화문이 그려진 원통형의 보관을 쓰고, 머리 양 옆으로 보관에 달린 끈이 휘날린다. 얼굴은 불법을 수호하기 위하여 험상궂은 표정을 하면서도 눈썹과 수염 등에서 부드럽고 해학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천왕상은 갑옷을 입은 무장형으로 어깨 위로 한 가닥의 천의(天衣)가 휘날리고 있다. 천왕이 든 지물은 북방 다문천왕이 당(幢)을, 서방 광목천왕은 용과 보주를, 동방 지국천왕이 비파를, 남방 증장천이 칼을 들고 있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에 제작된 대형 사천왕상은 중국 원대와 명대에 갑옷을 입고 위협적인 얼굴을 한 용맹스런 장수의 모습에 비파, 용과 보주, 당, 탑 등의 다른 지물을 가지고 있다.

특징

조선 후기 사천왕상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사찰의 중창과 중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조와 숙종 연간에 집중적으로 조성된다. 능가사 사천왕상의 특징은 다른 사찰에 봉안된 것보다 크고, 천왕문에 사천왕상을 배치한 방향이 다르다. 또한 동방 지국천왕 발 아래에는 동녀(童女)가 천왕의 왼쪽 다리를 받쳐 들고 있어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사천왕상의 조성 시기가 분명히 밝혀져 있고, 천왕문의 건립과 중건연대도 확실하여 조선시대 다른 사천왕상 연구에 기준이 되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고흥군의 문화유적』(목포대학교박물관, 1991)
「능가사 대웅전 실측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03)
「조선후기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노명신, 『미술사학연구』202, 한국미술사학회, 199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