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도림사 보광전 목조 아미타삼존불상 ( )

목차
관련 정보
곡성 도림사 보광전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곡성 도림사 보광전 목조아미타삼존불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곡성군 도림사 보광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곡성도림사보광전목조아미타삼존불상(谷城 道林寺 普光殿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07월 13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곡성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도림사 보광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개설

200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는 아미타불 126㎝, 관음보살 116㎝, 대세지보살 116.5㎝.조각승 운혜(雲惠, 雲慧), 경림(敬琳, 瓊琳) 등이 1665년(현종6) 5월에 아미타불상을, 1680년(숙종 6)에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을 제작하였다.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본존을 만들고 후에 협시를 만든 것인지, 아니면 본존과 같이 만든 협시보살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내용

1665년에 제작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126㎝인 중대형 불상이다. 불상은 육계와 나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넓은 반달모양의 중앙계주와 원통형의 정상계주를 표현하였다. 상체를 앞으로 내밀어 자세가 구부정하고, 얼굴과 신체의 비율은 대략 1:3.2이다. 계란형의 얼굴에 이목구비는 전형적인 조선 후기 불상을 따르지만, 턱이 약간 뾰족하고 다른 조각승이 만든 불상에 비해 인중이 넓고 선명하며, 목의 삼도는 거의 수평으로 처리하였다.

바깥에 걸친 두꺼운 대의의 옷자락은 오른쪽 어깨에서 가슴까지 내려와 두 겹 접힌 후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자락은 세 겹으로 접혀 옷주름이 수직으로 내려와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펼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는 중앙에 두께가 일정한 주름을 중심으로 출렁이듯 펼쳐져 있고, 반대쪽 주름은 한 가닥 넓게 펼쳐져 있다. 특히 하반신의 대의 처리에서 가장 큰 특징은 복부에서 가운데로 흘러내린 주름의 끝이 부메랑같이 표현된 것이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덮은 승각기는 넓게 대각선으로 접혀 있다. 따로 제작한 오른손은 어깨 높이까지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왼손은 가지런히 무릎 위에 올려놓고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 수인을 취하고 있다.

1680년에 제작된 목조관음 · 대세지보살상은 높이 116㎝로, 얼굴과 신체 표현 등에서 1665년에 만든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유사하다. 보관은 얼굴에 비하여 크고 화려하며, 승각기의 상단 주름은 뾰족한 원통형으로 표현되었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자락은 결가부좌한 다리 사이에 깊이감 있게 펼쳐지고, 배에서 앞으로 늘어진 두 번째 자락의 끝부분이 T자형으로 접혀 있다.

각각의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백지묵서(白紙墨書)의 조성발원문에는 1665년에 아미타불을 운혜(雲慧), 경림(瓊琳), 처경(處瓊), 묘경(妙瓊), 처기(處機)가, 1680년에 협시보살을 운혜(雲惠), 경림(敬琳), 탄욱(坦勗), 도민(道敏), 삼안(三眼), 초명(楚明), 성일(性日)이 제작한 것으로 적혀 있다.

수화승으로 참여한 운혜는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조각승이다. 그는 영철(靈哲)의 보조화승으로 참여하였는데 영철은 수연(守衍)의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다. 충청남도 공주 마곡사에 거주한 조각승 운혜가 수화승으로 만든 불상은 전라남도 해남 서동사 목조삼세불좌상(1650년), 전라남도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불좌상(제주 월계사 봉안, 1661년), 전라남도 곡성 도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1665년),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1667년), 전라남도 순천 동화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1672년), 전라남도 고흥 능가사 불상(1675년), 곡성 도림사 목조관음 · 대세지보살좌상(1680년) 등이다. 운혜가 만든 불상은 전반적으로 얼굴에서 풍기는 인상, 신체 비율, 착의법 등이 세부적으로 차이가 난다.

의의와 평가

도림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제작 시기, 조성 사찰, 조성자 등을 명확히 알 수 있고, 조각승 운혜가 만든 마지막 기년명 보살상으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에서 기준작이 되는 작품이다.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운혜와 그 계보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양식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선집』Ⅱ(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 조각승 열전』(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 양사재, 2007)
『곡성군의 불교유적』(광주국립박물관, 2003)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운혜」(최선일, 『불교미술사학』2, 불교미술사학회, 2004)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