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문수사 목조 석가여래 좌상 ( )

김제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김제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문수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석가여래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수사목조석가여래좌상(文殊寺木造釋迦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0년 03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북 김제시 황산5길 158 (황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문수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석가여래좌상.
개설

2000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59㎝, 무릎 폭 45.5㎝. 불상에서 발견되었다는 조성발원문은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어 조성 사찰이나 조각승 등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으나 1610년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내용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은 높이가 59㎝인 중형 불상으로, 상체를 곧게 세우고 머리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있다. 머리에는 경계가 불분명한 육계(肉髻)와 뾰족한 나발(螺髮)이 표현되어 있고, 머리 중앙에 반원형의 중간계주(中間髻珠)와 정수리에 윗부분이 둥글고 낮은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 타원형의 얼굴에 아래를 향해 가늘게 뜬 눈은 눈꼬리가 살짝 위로 올라가고, 삼각형의 코는 콧날이 곧게 뻗었으며, 입은 미소를 짓고 있다. 목에는 완만한 곡선의 삼도(三道)를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은 목에서 수직으로 가슴까지 늘어지고 나머지 대의(大衣) 자락이 팔꿈치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간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편삼과 대의 자락이 배에서 접혀 넓게 펼쳐지고, 하반신에 늘어진 대의 자락은 배에서 수직으로 한 가닥의 옷자락이 늘어지고 좌우로 펼쳐져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승각기(僧脚崎)는 상단을 수평으로 마무리하고 대각선으로 접혀 있다. 불상 뒷면에는 목둘레에 대의 끝단을 두르고,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가슴 높이까지 치켜들고, 왼손을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인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석가불이 취한 항마촉지인과 다르다.

특징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기년명(紀年銘) 불상과 비교해 보면, 착의법이나 신체 비율 등이 1600년부터 1630년 사이에 제작한 불상과 유사하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석가불은 대의 안쪽에 편삼을 걸치지 않고 항마촉지인을 취한 작품이 대부분이지만,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아미타여래와 같이 편삼을 입고 엄지와 중지를 맞댄 자세를 하고 있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은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각민(覺敏) 원오(元悟, 願悟), 수연(守衍)이 만든 불상과 다르지만, 하반신에 늘어진 대의자락의 처리 등은 수연이 만든 불상과 유사하다.

의의와 평가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은 1610년에 제작된 기년명 불상으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작이고,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각민이나 수연과 관련된 조각승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 양사재, 2007)
『한국의 사찰문화재』전라북도·제주도(문화재청·(재)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3)
「동학사 대웅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 조각승 각민」(정은우, 『정신문화연구』35-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17세기 전반 조각승 수연의 활동과 불상 연구」(최선일, 『동악미술사학』8, 불교미술사학회, 2007)
「조선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연구」(최선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