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인각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석불좌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좌상은 높이가 153㎝로, 광배와 불상이 한 돌로 조성되어 있으나, 고부조로 조각되어 있어 앞에서 보면 마치 단독불상처럼 보인다.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의 육계는 크고 높지만 거의 머리 크기와 비슷하며, 큼직한 나발이 머리 전체에 조각되었다. 상호는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다.
이 불상은 항마촉지인과 선정인의 수인을 취했는데, 특히 선정인의 수인 위에 작은 지물이 있는 것으로 보여 약사불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불의(佛衣)는 양 어깨를 덮고 있는 통견이며,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진 대의가 배 앞에서 접혔다가 오른손 옆으로 내려진 것으로 보아 이중착의법일 가능성이 높다. 옷주름이 대의 전체에 골고루 표현되었으며, 의습선은 선각으로 같은 간격을 유지하며 부드러운 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런 의습선은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889년)이나 경북대학교 소장 비로자나불상, 홍천 물걸리 석불좌상 등과 유사하다. 가슴 앞에는 승각기와 띠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광배는 파손되어 정확한 형태와 세부 조각은 알 수 없으나,몸 천제를 감싼 주형(舟形)의 광배이다.
불상 신체의 양감이 표현되지 않은 점, 경직된 어깨, 높고 짧은 양 무릎, 옷 전체에 등간격으로 음각된 의습선 등으로 보아 양 무릎에 의습선을 표현하지 않거나 신체의 양감이 풍부하게 표현된 9세기의 불상과는 다르며, 또한 상호와 신체 등이 큼직하게 표현되기 시작한 고려의 불상과도 달라 10세기경의 불상으로 편년된다.
10세기 전의 불상과는 다른 여러 특징을 지니고 있어 10세기 이후의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