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영전사 석조 여래 입상 ( )

영주 영전사 석조여래입상
영주 영전사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동부리 영전사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주영전사석조여래입상(榮州靈田寺石造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08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성로70번길 31 (동부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동부리 영전사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개설

2001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석조여래입상은 1924년 3월 풍기읍 욱금리 영전마을의 한 주민이 꿈을 꾸고 난 후 땅속에서 발견하였다고 한다. 영전마을은 신라 의상대사가 3천 문도를 거느리고 90일 동안 화엄대전을 강의했다는 소백산 추동(錐洞: 송곳골)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이 봉안된 영전사는 본래 욱금리에 있었으나 1949년 군당국의 소거령으로 현재의 동부리로 이전되었다. 이 불상은 조각 수법의 특징들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이 불상은 원래 불상과 광배, 대좌 모두 한 돌로 조성되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대좌 일부분인 앙련과 불상만이 남아 있다. 불상의 코, 이마, 손가락, 발 등 훼손이 심한 부분은 복원된 상태이다. 불상의 육계는 봉긋하게 솟아 있고 얼굴은 전반적으로 통통한 편이다. 눈 · 코 · 입은 작게 표현되었으며 뺨이 통통하여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착의법은 통견이며 가슴 위에서 승각기가 표현되었으며, 대의 아래에 군의를 볼 수 있다. 오른손은 엄지와 약지 · 중지를 맞대고 위로 향하여 있으며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있는데, 수인만으로는 이 불상의 존명을 알 수 없다.

특징

이 불상은 원만한 상호, 당당한 어깨, 옷주름과 옷자락의 원호문 등에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조각수법과 아름다운 조형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신라 의상대사의 행적과 관계가 깊은 영전사에 봉안된 이 불상은 통일신라 조각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