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 석조 여래 좌상 ( )

대구 유가사 석조여래좌상
대구 유가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유가사석조여래좌상(瑜伽寺石造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3년 04월 30일 지정)
소재지
대구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길 161 (양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불상.
개설

2003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유가면 양리 비슬산 유가사에 봉안된 1구의 석조여래좌상으로, 원래 비슬산 기슭에 있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 불상은 신체 표현과 수인, 편단우견의 불의 등에서 10세기 고려 초의 불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용

3단의 방형대좌 위에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결한 불상이다. 상호와 양 무릎을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며 대좌의 중대석도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특히 불상의 상호에서 원래의 모습을 찾기가 어렵다.

육계는 낮고 작으나 나발은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양 귓불이 짧은 점이 시선을 끈다. 어깨에 힘이 들어간 것처럼 표현되었으며, 허리가 잘록하게 표현되어 신체의 양감을 다소 느낄 수 있다.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이며, 왼손은 오른발 위에 어색하게 꺾인 채로 놓여 있다. 불의(佛衣)는 편단우견으로, 가슴의 대부분과 어깨 일부가 드러나 있고 등도 많이 노출되어 있다. 이런 특징은 괴산의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서도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대좌는 3단의 방형대좌이며, 각각 별석(別石)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대는 16엽(葉) 단판연화문이며, 그 안에 나뭇잎과 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2단의 각형괴임대가 중대석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은 각 면에 우주를 조각하였는데, 각각 그 안에 1구의 공양자상과 3구의 천인상이 고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공양자상은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한 자세이며, 천인상은 휘날리는 옷자락이 날렵하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팔각연화대좌의 예가 많이 남아 있고 상대적으로 방형대좌의 예는 많지 않은데, 통일신라 9세기의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이 대표적이며, 고려시대에는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등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특징

이 석조여래좌상의 상호와 양 무릎은 시멘트로 보수되어 불상의 상호에서 원래의 모습을 찾기가 어렵고, 대좌의 중대석도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본격적인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이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 10세기 고려 초의 불상으로 편년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위축된 어깨와 밋밋한 신체 표현, 부자연스러운 수인, 갸름한 얼굴형에 짧은 귀, 신체를 많이 노출한 편단우견의 불의 등에서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나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등 나말여초 10세기의 불상과 유사하여 이 시기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유가사』(대구광역시달성군·경북대학교, 1997)
「비슬산 유가사 석조불좌상」(임석규, 『성보』4, 대한불교조계종성보보존위원회, 2000)
「달성군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대구광역시달성군·대구대학교박물관, 1997)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