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송림사 목조 석가여래삼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중 석가여래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중 석가여래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이칭
이칭
송림사대웅전목조석가삼존불좌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漆谷 松林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9년 02월 23일 지정)
소재지
경북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 송림사 (구덕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개설

200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석가불을 협시하고 있는 석가삼존불이다. 수년 전에 발견된 불상조성기를 통해서 조성연대, 조성화원, 봉안처 등이 밝혀졌다. 이에 의하면 “順治什四年歲在丁酉季秋八月日 慶尙道柒谷府南嶺八公山松林寺大雄殿佛像造成己畢奉安記(순치십사년세재정유계추팔월일 경상도칠곡부남령팔공산송림사대웅전불상조성기필봉안기)”라 하여, 1657년(효종 8) 8월에 경상도 칠곡부 남령 팔공산 송림사 대웅전에 불상을 조성하고 봉안했으며 도우(道雨), 쌍조(雙照), 학매(學梅), 경신(敬信) 등 불상을 조성한 화원들이 기록되어 있다.

내용

석가불의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선정인을 취하였다. 머리에는 나발이 뚜렷하고,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있다. 얼굴을 보면, 살이 오른 턱은 사각형의 얼굴 윤곽선을 만들고 상호가 큼직하고 뚜렷하다. 착의법은 오른쪽 어깨의 대의자락이 오른쪽 팔꿈치를 감고 돌아 왼쪽 어깨로 이어지고 있다. 양어깨를 덮은 통견 형식이지만 오른팔이 드러나 있어서 법주사 대웅보전 삼불좌상(1626년) 등과 함께 17세기 불상의 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양 협시보살상들은 좌우 손의 위치만 다를 뿐 상의 크기, 얼굴, 착의법, 의습선 등 모든 표현에서 동일하다. 보관과 지물은 근래에 조성된 것으로 원래의 것은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이 목조삼존불좌상을 조성한 조각승들은 1653년(효종 4)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과 1654년 송림사 명부전 제상(諸像)의 조성에 참여한 것이 불상조성기를 통해 확인되므로, 17세기 화승의 활동과 그 영향관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