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선암사 동종
순천 선암사 동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대각암에서 사용하던 조선시대 동종.
이칭
이칭
순천선암사순치14년명동종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순천 선암사 동종(2008-2)(順天 仙巖寺 銅鍾(2008-2))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8년 04월 22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 성보박물관 (죽학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대각암에서 사용하던 조선시대 동종.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종신에 당좌 없이 위패형의 방형을 구획하여 “王妃殿下 壽齊年, 主上殿下 壽萬歲, 世子邸下 壽千秋(왕비전하 수제년 주상전하 수만세 세자저하 수천추)”라 새기고, 좌우에는 “全南道寶城郡地天鳳山大原寺浮屠庵中鍾二百斤順治十四年丁酉五月日鑄造匠金龍出張士詳(전남도보성군지천봉산대원사부도암중종이백근순치십사년정유오월일주조장김용출장사상)”이라는 명문을 새겼다. 이를 통해 1657년(효종 8)에 전라남도 보성 대원사 부도암에서 주종장 김용출과 장사상이 제작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선암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범종의 높이는 83.6㎝로,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이다. 용뉴는 쌍룡(雙龍)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용두는 한쪽 발을 상판에, 다른 발은 여의주를 감싸고 있다. 음통은 없고 음통 자리에 직경 2㎝되는 구멍을 뚫어놓았다. 천판 위에는 16엽 연판문을, 종신 상단에는 범자(梵字) 19자를 두르고 있다. 그 바로 밑에 4개의 유곽(세로 22㎝, 가로 18.5㎝)을 사방으로 배치하고, 그 안에 9개의 유두를 표현하였다. 방형의 유곽에는 인동당초문이, 유두의 외곽에는 작은 연화문이 장식되어 있다. 유곽 사이에 두광을 가진 보살입상이 화려한 보관을 쓰고 길게 늘어진 법의를 입고 가지런히 합장한 모습을 새겨놓았다. 당좌 없이 위패형의 방형을 구획하여 명문을 새기고, 그 밑으로 하대에는 연당초문을 새겨 장식성을 가미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동종은 생동감 있게 표현한 당초문과 보살입상 등 그 주조 수법과 장식성에서 우수한 작품이다. 또한 이 동종은 제작한 절대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어 조선 후기의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전라남도에 현존하는 조선 후기 범종은 담양 용흥사 동종(1644년), 여수 흥국사 동종(1665년), 진도 쌍계사 동종(1686년), 구례 화엄사 동종(1691년), 고흥 능가사 동종(1698년) 등이 있는데, 이 선암사 대각암 동종은 이들 중 두 번째 이른 시기의 것으로서 그 가치가 더욱 높게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유적과 유물』5 -공예-(황호균, 선암사·남도불교문화연구회, 1992)
『한국의 종』(염영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조선후기 주종장 사인비구에 관한 연구」(안귀숙, 『불교미술』9, 동국대학교, 198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