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회화
유물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조국사의 초상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大邱 桐華寺 普照國師知訥眞影)
분류
유물/불교회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0년 02월 24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 (도학동, 동화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조국사의 초상화.
개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83㎝, 가로 111㎝. 보조국사 지눌(知訥)은 고려 중기의 고승으로 한국 선(禪)을 확립한 인물이다. 정혜결사(定慧結社)로 불교계의 자각운동을 주도하였고, 나아가 많은 저술을 통해 선의 철학적 기초를 마련하여 한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초상화는 제작연대를 확실히 알지 못하나 제작기법 등으로 미루어 보면 17세기 중엽경(1644~1661)으로 추정된다.

내용

화면에서 보조국사는 흰색의 장삼에 녹색의 띠가 엇갈려 있는 가사를 입고 오른손에는 주장자를 쥐고 등받이가 높은 법좌(法座)에 앉아 있다. 화면 왼쪽에는 보조국사가 입적한 이후 받은 시호인 ‘願力受生海東佛日普照國師(원력수생해동불일보조국사)’가 기입되어 있다.

보조국사 진영은 동화사뿐만 아니라 순천 송광사, 여수 흥국사 등에도 봉안되어 있는데, 얼굴 표정이나 앉은 자세, 의자, 주장자에 이르기까지 비슷한 모습이지만 장삼과 가사의 색상만이 약간 달리 표현되어 있어, 동일한 초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장성 백양사의 학조대사(學祖大師) 진영이 보조국사 진영과 대단히 비슷하여 연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으나, 학조대사 진영은 의자상이면서 벽면과 바닥이 나누어진 2단 구도로 되어 있어 조선 후기의 양식을 보여주므로 전통 양식과 혼용되어 조성된 예라고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고졸하고 단아한 조선 중기 초상화의 특징을 유감없이 발휘한 명작으로 당시 초상화 연구에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깨달음의 길을 간 얼굴들: 한국고승진영전』(직지사성보박물관, 2001)
『한글대장경』(동국역경원, 1994)
『고승진영』(김형우, 대원사, 1990)
「전국사찰소장고승초상화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9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