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문(金祐文)은 고려 후기인 14세기 전반경에 활동한 화가로, 해석에 따라 ‘김우’라고도 지칭된다. 그의 생애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그가 제작한 일본 경신사(鏡神祀) 소장 〈관음보살도〉(1310)의 『측량일기(測量日記)』(1812)에 의하면 그는 내반종사(內班從事)라는 관직을 갖고 있었고, 함께 이 그림의 제작에 참여한 화사 역시 모두 관직이 있는 궁중 화원이었다. 내반종사는 고려 때 붓과 벼루 등 왕실의 각종 물품을 관장한 액정국(掖庭局)의 종7품인 내전숭반(內殿崇班)과 유사한 직책으로 추정되는데 화원이 화국에서 오를 수 있는 직위보다 더 높은 직책일 가능성이 있다. 김우문의 알려진 작품으로는 일본 경신사에 소장된 〈관음보살도(수월관음도)〉가 있다. 이 작품은 화면 아래가 잘려 원래의 화기는 없는데 일본으로 이동된 이후의 기록인 『측량일기』가 기록되어 있다. 『측량일기』에 의하면 이 작품은 1310년(충렬왕 3) 숙비(叔妃)가 발원하고, 내반종사 김우문과 이계(李桂), 임순(林順) 등 8명의 궁중 화사가 그렸다고 한다. 특히 이 작품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도 가운데 가장큰 규모(세로 430cm, 가로 254cm)로 구도, 형태, 색채 면에서도 최고의 기량으로 그려진 고려 불화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작품 제작을 주도한 김우문은 뛰어난 기량이 있는 궁중 화가였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