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문 ()

목차
회화
인물
고려후기 수월관음도 제작을 주도한 화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내반종사(內班從事)
목차
정의
고려후기 수월관음도 제작을 주도한 화가.
활동사항

김우문(金祐文)은 고려 후기인 14세기 전반경에 활동한 화가로, 해석에 따라 ‘김우’라고도 지칭된다. 그의 생애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그가 제작한 일본 경신사(鏡神祀) 소장 〈관음보살도〉(1310)의 『측량일기(測量日記)』(1812)에 의하면 그는 내반종사(內班從事)라는 관직을 갖고 있었고, 함께 이 그림의 제작에 참여한 화사 역시 모두 관직이 있는 궁중 화원이었다. 내반종사는 고려 때 붓과 벼루 등 왕실의 각종 물품을 관장한 액정국(掖庭局)의 종7품인 내전숭반(內殿崇班)과 유사한 직책으로 추정되는데 화원이 화국에서 오를 수 있는 직위보다 더 높은 직책일 가능성이 있다. 김우문의 알려진 작품으로는 일본 경신사에 소장된 〈관음보살도(수월관음도)〉가 있다. 이 작품은 화면 아래가 잘려 원래의 화기는 없는데 일본으로 이동된 이후의 기록인 『측량일기』가 기록되어 있다. 『측량일기』에 의하면 이 작품은 1310년(충렬왕 3) 숙비(叔妃)가 발원하고, 내반종사 김우문과 이계(李桂), 임순(林順) 등 8명의 궁중 화사가 그렸다고 한다. 특히 이 작품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도 가운데 가장큰 규모(세로 430cm, 가로 254cm)로 구도, 형태, 색채 면에서도 최고의 기량으로 그려진 고려 불화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작품 제작을 주도한 김우문은 뛰어난 기량이 있는 궁중 화가였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鏡神社水月觀音像の科學的調査」(시로노 세지, 『불교미술사학』8, 2009)
「불교예술의 결정체, 고려 수월관음도」(정우택, 『일본 경신사 수월관음도』 2009)
「한국 괘불화의 기원문제와 경신사장 김우문 필 수월관음도」(문명대, 『강좌미술사』33, 2009)
「고려 수월관음도의 백의에 대한 고찰」(장경희, 『미술사연구』8, 1994)
「고려 수월관음도상의 연원에 대한 재검토」(강희정, 『미술사연구』8, 1994)
집필자
유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