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대흥사 금동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 소재 대흥사에 소장된 조선 전기 금동보살좌상.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 소재 대흥사에 소장된 조선 전기 금동보살좌상.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흥사 금동보살좌상은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보살상의 양식적인 특징을 보면 고려후기의 보살상의 양식을 계승한 조선전기의 보살좌상이다. 따라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고, 한국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작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내용 및 특징

금동보살좌상은 오른쪽 무릎을 세우고 그 위에 오른팔을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왼손으로 바닥을 짚고 있는 윤왕좌(輪王座)를 취하고 있다. 보살상은 당초문이 빽빽이 투각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귀 뒤로 화려한 관대가 휘날리고 있다. 보발은 길게 늘어진 귀의 중간 부분을 지나 귀볼을 따라 어깨 위로 늘어져 있고, 어깨에서 몇 가닥으로 둥글게 꼬인 후 허리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타원형의 얼굴에 아래로 살짝 내려 뜬 눈, 포물선을 그리는 눈썹에서 연결된 오똑한 코, 약간 미소를 머금은 입 등 온화한 느낌을 준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고, 목 바로 아래 세 줄로 이루어진 연주문 목걸이를 두르고, 그 밑으로 좌우대칭으로 양 가슴까지 길게 U자형의 영락장식이 늘어져 있다. 벗은 상반신에 양쪽 어깨에 늘어진 천의 안쪽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천의 가락이 늘어져 있고, 뒤에서 넘어온 한 자락이 복부에서 앞으로 넘어와 수직으로 늘어져 펼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치맛자락은 자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다.

보살상의 보관과 장신구들의 표현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 보살상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타원형의 온화한 인상이나 신체에 간략한 영락 장식을 착용하였으며, 신체를 감고 있는 천의 등에서 고려후기의 보살상보다 도식화된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

『해남군의 문화유적』(목포대학교 박물관, 1986)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선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