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용문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소재 용문사 보광명전(寶光明殿) 내에 봉안된 조선전기 불상.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소재 용문사 보광명전(寶光明殿) 내에 봉안된 조선전기 불상.
개설

보광명전 내부 중앙에는 높은 수미단을 위에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데, 지권인을 결한 본존인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사불(藥師佛)로 이루어져 있다. 삼신불은 불상의 양식과 세부적인 조각기법이 달라 각기 다른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최근 복장 조사가 이루어진 목조아미타불좌상 내부에서 상화원(上畵員) 이영문(李永文)이 학청(學淸)과 함께 정덕(正德)9년(1514) 12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인 1515년 4월에 개조가 이루어졌다는 발원문이 발견되었다.

내용 및 특징

비로자나불 오른쪽[向左]에 봉안된 아미타불은 신체에 비하여 머리가 약간 크고, 밑으로 숙여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다. 상반신에 비하여 무릎의 폭이 넓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둥근 계란형의 얼굴에 길게 늘어진 눈, 높고 뾰족한 코, 미소를 머금은 입, 어깨까지 늘어진 귀 등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소라모양의 나발(螺髮)이 빽빽하고, 이마 위에 큼지막한 타원형의 중앙계주(中央髻珠)와 정수리 부분에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를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까지, 왼손은 가슴까지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의 아미타수인(阿彌陀手印)을 취하고 있지만, 왼손의 손가락은 수인을 취한 자세가 명확하지 않아 중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가슴은 편평하고 아랫배는 살짝 나와 있으며 양발을 무릎 위로 올린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무릎은 낮고 넓어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착의법은 대의 안쪽에 편삼(扁衫)을 입고, 대의자락 일부가 오른쪽 어깨에 반원형을 걸쳐진 후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자락은 거의 수직으로 내려와 복부에서 편삼과 겹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옷자락은 오른쪽으로 세 가닥의 주름이 완만하게 늘어져 있는데, 두 번째 옷주름이 가장 위쪽에 놓여있고 끝부분은 U자형으로 마무리되었다. 그 옆의 가장 바깥쪽 옷자락은 끝단이 거치문(鋸齒文)처럼 규칙적으로 접혀있고, 무릎에 사선으로 3가닥의 옷주름이 새겨져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승각기(僧脚崎)는 가슴 위까지 올려 띠로 묶은 매듭이 표현되고 그 밑으로 끈 자락이 팔(八)자형으로 늘어져 있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백지묵서 발원문 “정덕구년십이월입사일시 을해년사월초구일종필의야 부상불중수인연 최위양연야 연칙차삼존상불개조…(正德九年十二月卄四日始 乙亥年四月初九日終畢矣也 夫象佛重修因緣 最爲良緣也 然則此三尊象佛改造)”로 1515년에 이 불상의 개조를 마쳤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은 양식적으로 조선후기 제작된 불상과 달리 전형화 되지 않은 대의 처리, 승각기를 묶은 끈 등이 표현되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제작된 불상에 나타나는 금구장식이 생략된 것을 보면, 14-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얼굴에서 눈꼬리기 약간 올라간 모습은 1458년에 왕실 발원의 경북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이나 1501년 경북 경주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상의 표정과 유사하다. 또한 왼쪽 소매 밑의 늘어진 삼각형 주름 역시 고려 말 불상에 유행했던 착의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조각의 깊이가 깊고 주름의 표현에서 생동감이 보이는 것은 조선초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표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용문사 보광명전 목조아미타불좌상은 중수발원문의 발견으로 1515년 개조되었고 이 보다 앞선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불상을 통해 조선전기 불상의 양식과 구조 등의 접근이 가능하며 당시 불교미술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문화재적인 가치가 커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용문사성보유물관 개관 도록』(최선일, 불교조각 유물 설명, 용문사성보유물관, 2006)
「용문사 목불상의 작풍과 그 영향」(심주완, 『강좌미술사』26-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6)
문화재청(www.ocp.go.kr)
집필자
최선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