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충렬왕복위사건과 관련된 환관.
이칭
이칭
이복수(李福壽), 평창군(平昌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태감|평창군
관련 사건
충렬왕복위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충렬왕복위사건과 관련된 환관.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일명 이복수(李福壽)라고도 한다. 이숙(李淑)은 원나라에 환관으로 뽑혀가 태감(太監)이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렬왕이 복위한 후 충선왕의 측근세력들이 충선왕의 환국을 추진하면서 충렬왕의 측근세력인 한희유(韓希愈)·송분(宋玢)·석주(石冑) 등이 숙청되었다. 이에 원나라 성종(成宗)의 황후 불루간[卜魯罕]과 충렬왕의 측근세력 간의 교류를 알선함으로써 충렬왕의 측근세력이 다시 집권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일을 비롯하여 충렬왕이 원에 부탁할 일이 있을 때마다 이숙이 도와주었기 때문에 충렬왕의 총애를 받았다.

1298년(충렬왕 24) 벽상삼한정광(壁上三韓正匡)에 임명되었으며, 1305년(충렬왕 31)에 평창군(平昌君)에 책봉되었다. 1306년(충렬왕 32) 왕유소(王惟紹)와 함께 충렬왕의 후계자로 서흥후(瑞興侯) 왕전(王琠)을 세우고 충선왕을 몰아내려는 음모를 꾸몄다. 1310년(충선왕 복위2)에 평창군에 다시 봉해졌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간섭하의 고려정치사』(김당택, 일조각, 1998)
『고려귀족사회와 노비』(홍승기, 일조각, 1983)
「충렬왕의 복위 과정을 통해 본 천계 출신 관료와 ‘사족’ 출신관료의 정치적 갈등」(김당택, 『동아연구』17, 1989)
「고려 충렬왕대의 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이익주, 『한국사론』18,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8)
「홍자번 연구: 충렬왕대 정치와 사회의 일측면」(김광철, 『경남사학』1,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