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자각은 산릉에서 행해지는 상례의 중심건물로서 국장의례가 끝나고 삼년동안 산릉의 조석상식과 주다례를 행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장례기간이 끝나면 길례가 행해지는 곳이다. 건원릉 정자각은 1408년(태종8) 태조의 능침인 건원릉을 조성하면서 함께 건립되었으며, 능침제도에 따라 능 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건원릉 정자각은 1408년(태종 8) 태조의 재궁을 안장한 건원릉을 조성하면서 함께 지어졌다. 이후 1586년(선조 19)에 중수했다고 전하며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왜군이 방화하려 했으나 불이 붙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숙종은 건원릉 봉심 후 수리하려 했지만 왜란의 신기한 사연을 듣고 손대지 않았다고 숙종실록에 전한다. 그러나 1764년(영조 40) 건물이 크게 퇴락하여 중수도감을 설치하고 건물을 수리했다. 1784년(정조 8)에도 소규모 수리가 있었으며, 『일성록(日省錄)』에는 1879년(고종16)에 정자각의 첨계석(簷階石)을 수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후 1988년과 2006년에 기단석 해체보수 및 연목이상 해체 후 부식재 교체, 번와보수, 단청공사 등이 이루어졌다.
『국조오례의』길례 단묘도설에는 ‘산릉의 침전(寢殿)은 능실(陵室) 남쪽에 있는데, 북쪽에 자리하여 남쪽을 향하게 하고 모두 3칸으로서, 동쪽과 서쪽에 계단이 있고, 신좌는 북쪽에서 남쪽을 향한다’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丁자형 정자각의 모습을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건원릉 정자각도 이와 같이 정전과 배위청이 직각으로 연결된 丁자형 건물이다. 장대석을 4단 이상 쌓은 기단 위에 단정한 모습을 하고 있는 정자각은 정전이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배위청은 정면 1칸, 측면 2칸이다. 정전은 전면 3칸에 모두 사분합 세살문을 설치하고, 후면은 가운데만 능을 향해 열 수 있도록 문을 두고 있다. 정전은 기능상 내부를 통칸으로 구성하고, 배위청은 창호 없이 외부와 개방된 구조이다. 공포는 정전이 1출목 2익공이고 배위청은 출목없이 2익공으로 꾸며서 정전과 차이를 두었다. 공포의 세부적인 수법은 18세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어 1764년 중수 때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지붕은 겹처마 맞배집이며 용마루와 내림마루에는 취두와 용두, 잡상을 설치하고 있다.
건원릉 정자각은 1408년(태종 8) 건립이후 몇 차례의 중수가 있었지만 『국조오례의』길례 단묘도설과 비교해 볼 때 전형적인 정자각의 규모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포 등 세부 수법에서는 1764년(영조 40) 중수 할 때의 시대적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건원릉은 고려 왕릉인 현정릉의 제도를 기본적으로 따르며 세부적으로는 곡장의 설치 및 석물의 배치 등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이후 건원릉의 능제는 조선 왕릉의 표준으로 작용하였다.
건원릉 정자각 또한 조선의 창업군주 태조의 능, 건원릉의 정자각이라는 상징적 의미 뿐 아니라 조선 왕릉 정자각의 본보기가 된 건물로서 가장 전형적인 규모와 형태를 취하고 있고, 세부적 수법은 18세기의 시대적 특징을 지닌 건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