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사 석 삼존불상 ( )

서울 도선사 석삼존불상
서울 도선사 석삼존불상
조각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노원구 도선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조성된 석조 불상.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도선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조성된 석조 불상.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도선사 법당에 봉안되어 있는 돌로 만든 삼존불좌상으로, 여말 선초(麗末鮮初)에 제작되었다. 본존상은 좌우 협시보살보다 약간 크다. 2009년 3월 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도선사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석조삼존불좌상의 본존은 좌우의 두 상에 비해 약간 큰 편이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은 원래 얼굴이 동그랗고 온화한 모습이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심하게 닳아 없어져 이목구비(耳目口鼻)를 잘 알아볼 수 없다. 목과 백호가 새겨진 부분도 손상되어 나중에 보수하였다. 대의는 어깨를 드러내는 편단우견식(偏袒右肩式)으로 입었고, 어깨와 무릎에는 넓은 띠 주름을 새겼다. 오른손은 가슴 앞에 올리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았다.

협시 보살상은 머리 위에 원통형 보관을 쓰고 두 손으로 화염보주 같은 지물을 들고, 양쪽 어깨 위에는 넓은 옷 주름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허리가 짧고 무릎 높이가 낮아, 전체적으로 본존상보다 왜소한 느낌을 주며 뒷면은 조각을 하지 않고 밋밋하게 처리하였다. 정면은 통견식(通肩式)으로 법의를 입은 듯하고 양쪽 어깨에 옷 주름을 새겼고, 등 뒤에 넓은 간격의 옷 주름을 사선으로 새겨 넣었다. 다리 위에는 옷 주름이 거의 수직으로 늘어져 있다.

특징

불상은 전체적으로 체구의 비례 면에서 균형감이 조금 떨어지고 훼손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세 불상 모두 전체적으로 양감이 있고 자세가 안정된 것이 고려시대 석불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도선사 석조삼존불좌상은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지만, 전체적인 형태와 대의 처리 등이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제작된 불상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문헌

「고려시대 보살상의 원통형 보관의 원류와 전개」(권보경, 『동악미술사학』 15호, 동악미술사학회, 2013)
「고려 중기 불교조각에 보이는 북방적 요소」(정은우, 『미술사학연구』 265호, 미술사학연구회, 201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선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