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총새 (물새)

목차
관련 정보
물총새
물총새
동물
생물
칼새목 물총새과의 철새.
이칭
이칭
물촉새, 취조, 청우작, 어호, 어구
목차
정의
칼새목 물총새과의 철새.
개설

우리나라에서는 물가와 호수 등에서 흔히 관찰이 가능한 철새이다.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부리가 긴 코발트색의 조류이다.

우리나라에서 번식한 물총새는 주로 필리핀에서 월동한다. 최근에 일부 개체의 경우, 제주도에서 월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제적으로는 주1, 주2, 주3 유역, 만주,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월동지는 주4, 주5, 필리핀 등이다. 학명은 Alcedo atthis 이다.

내용

예로부터 물총새를 푸른빛을 띤 보석 비취에 비유하여 ‘취조’ 혹은 ‘청우작(靑羽雀)’이라고 불렀다. 또한 사냥을 잘하는 호랑이 또는 늑대에 비유하여 ‘어호(魚虎)’ 혹은 ‘어구(魚狗)’라고도 불렀다. 물의 새라는 뜻으로 ‘물새’ 혹은 ‘쇠새’라고도 하였다.

날개 길이는 66∼72㎜, 부리 길이는 29∼38.5㎜, 주6은 7∼9.5㎜이다. 번식기는 3∼8월이며 한배 산란 수는 4∼7개이다. 포란 기간은 19∼21일이며 주7 기간은 23∼27일이다.

물가에 있는 언덕, 흙으로 된 벼랑 등에 구멍을 파고 둥지를 튼다. 둥지는 길이 0.5∼1m, 폭 6∼9㎝의 긴 터널 모양이며 흙, 고기뼈 등을 깔아둔다. 보통의 새와 달리 배설물 등을 버리지 않아 둥지 내부는 냄새가 심하게 난다. 그래서 자주 물에 깃을 씻는다. 먹이는 주로 민물고기이며 양서류, 수서곤충 및 갑각류 등도 즐겨 먹는다.

물가에서 정지하고 있다가 물고기가 발견되면 바로 물속에 뛰어들거나 공중으로 날아올라 물 위의 2∼3m 공중에서 정지비행하다 급강하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잡은 후에는 바로 나뭇가지나 말뚝에 부딪쳐 죽인 후 먹는다. 암컷에게 구애를 할 때 보통 물고기를 잡아 주는데 암컷이 받아먹으면 청혼을 받아준 것이고 받지 않으면 실패한 것이다.

참고문헌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주석
주1

러시아 동시베리아 남부에 있는 담수호. 지구대(地溝帶)에 생긴 가늘고 긴 호수로, 많은 종류의 동식물이 주변에 서식한다. 여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얼어 있지만 해빙기에는 수운(水運)이 자유롭고 어업이 활발하다. 최대 깊이는 1,742미터로 담수호 중 세계에서 가장 깊다. ‘시베리아의 푸른 눈’으로 불리기도 한다. 면적은 3만 510㎢. 우리말샘

주2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 부근을 흐르는 강. 몽골 북부의 오논강에서 나와 동쪽으로 흘러 타타르 해협으로 들어간다. 길이는 4,352km. 우리말샘

주3

러시아 연해주와 만주 사이를 흐르는 강. 싱카이호(興凱湖)에서 시작하여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아무르 강으로 흘러든다. 길이는 587km. 우리말샘

주4

아시아 동남부에 있는 반도. 반도 남부에 있는 끄라 지협에서 말레이반도가 뻗어 있으며, 인도양과 남중국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타이, 미얀마 따위의 나라가 있다. 우리말샘

주5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의 남쪽으로 튀어나온 반도. 남쪽은 말레이시아령(領), 중부 및 동북쪽은 타이령, 서북쪽은 미얀마령이다. 고온 다습한 열대 몬순 기후로, 고무ㆍ목재ㆍ주석ㆍ금 따위의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면적은 18만 1300㎢. 우리말샘

주6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 우리말샘

주7

알에서 깐 새끼를 키움. 또는 그 새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