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개암사 응진전 십육나한상 ( )

목차
관련 정보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나한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개암사응진전16나한상(開巖寺應眞殿16羅漢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나한상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0년 03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감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나한상.
개설

2000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나한상 높이 87~96.5㎝. 나한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는 1677년(숙종 3) 7월 1일 전라북도 부안 능가산 개암사 응진당에 봉안하기 위해 덕희(德輝)와 보윤(寶允)이 발원하고 조각승 경탄(敬坦), 준계(俊戒), 법학(法學), 경삼(敬森)이 석가삼존상을 비롯하여 16나한상 및 권속을 제작한 것으로 적혀 있다.

내용

16나한상은 일반적으로 영산전이나 응진전 등에 봉안되며, 본존 불상 왼쪽에 홀수 번호의 나한상이, 오른쪽에 짝수 번호의 나한상이 벽면을 따라 배치된다.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원칙을 따르고 있다. 15구의 나한상은 1677년에 조성된 작품이지만, 1구는 새로 제작된 것이다.

나한상은 높이가 87~96.5㎝의 중형으로, 조선 후기 전형적인 나한상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얼굴의 자연스러운 표정이나 앉아있는 자세 등이 같은 시기에 활동한 색난, 단응, 마일 등이 만든 나한상과 양식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나한상은 바위 위에 결가부좌하거나 한쪽 무릎을 세운 채로 앉아 있고, 양손을 합장하거나 지물을 들고 있는 등 형태가 다양하다. 나한상은 모두 민머리로, 희고 긴 눈썹은 길게 늘어지고 이마에 잔주름이 표현된 노스님과 눈썹과 수염이 듬성듬성한 젊은 수행자의 모습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결가부좌한 나한상은 경전, 염주, 사자 등의 지물을 들고 있다. 다만 한 다리를 세우고 양손으로 깍지를 낀 자세와 작대기로 코를 들어 올린 자세 및 싸움을 하듯 손매를 걷어 올린 자세 등은 다른 사찰의 나한상에서는 볼 수 없다.

장삼 위에 걸친 붉은 색의 가사를 끈으로 묶어 가슴부터 하반신까지 자연스럽게 늘어뜨렸다. 가사와 장삼의 옷깃에는 화려한 꽃문양이 묘사되었는데, 근래 들어 나한상에 색을 다시 칠해 오래된 느낌이 사라졌다.

한편 수화승으로 참여한 경탄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조각승이다. 경탄이 수화승으로 만든 불상은 대구 달성 소재사 석조석가여래좌상(1673년), 부안 개암사 나한상(1677년) 등이다. 개암사 나한상 제작에 함께 참여한 준계, 법학, 경삼이 다른 불상을 제작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17세기 중 · 후반에 제작된 기년명(紀年銘) 나한상보다 인상 표현이나 자유로운 자세 등 미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개암사 목조나한상은 제작 시기, 조성 사찰, 조성자 등을 명확히 알 수 있고, 조각승 경탄이 만든 유일한 기년명 나한상이라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에서 기준 작품이 될 수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 선운사 영산전에 봉안된 나한상과 얼굴 표정, 자세, 착의법 등이 동일하여 같은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 양사재, 2007)
『한국의 사찰문화재』전라북도·제주도(문화재청·(재)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3)
『미술사학지』제3집 개운사·내소사·개암사의 불교미술(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0)
「조선후기 나한상 연구」(김희경,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고」(김정희, 『성보』2,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00)
집필자
최선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