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표충사 지장탱 ( ▽)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명부계 불화.
이칭
이칭
표충사 지장보살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밀양 표충사 지장보살도(密陽 表忠寺 地藏菩薩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01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명부계 불화.
개설

2008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면 바탕에 채색. 세로 235.5㎝, 가로 242㎝. 지장보살탱화는 불교의 명부신앙(冥府信仰)에 의거하여 제작된 것으로 표충사 명부전에 후불탱화로 봉안된 불화이다. 명부전(冥府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은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지옥에 떨어지지 않도록 재(齋)를 지내는 곳이다. 이 전각 안에는 지장보살을 비롯하여 시왕과 사자, 판관, 지옥사자 등 많은 존상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존상들 뒤에는 지장보살도와 시왕도, 사자도 등 다양한 불화들이 걸려 있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 부처가 입멸하여 56억 7천만 년이 경과한 후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출현할 때까지인 무불시대(無佛時代) 동안 일체의 중생을 구제하도록 석가로부터 의뢰받은 보살이며, 육도(六道: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 천)의 구주(救主)로 신앙되는 대비(大悲)의 보살이다. 조선시대에는 추선공덕(追善功德: 죽은 사람의 기일에 행하는 불사)과 영가천도(靈駕遷度: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세계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것)를 위하여 명부전의 주존으로 지장보살도(地藏菩薩圖)가 봉안되었다. 지장보살은 조각상과 그림으로 표현될 때 승려와 같은 형상이나 때론 두건(頭巾)을 쓰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한 손에는 석장(錫杖), 한 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자비로운 보살의 형상으로 그려진다.

내용

표충사 지장보살탱화는 명부전의 불화 가운데 가장 중심적인 예배 대상으로, 명부신앙의 내용을 압축하여 한 폭에 도상화하였다. 중앙에 지장보살과 협시인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배치하고, 좌우에 보살4위, 사천왕, 용왕 · 용녀, 동자 등의 권속을 묘사하였다. 시왕은 생략되었고 보살, 사천왕 · 동자, 용왕 · 용녀 등이 주요한 협시로 표현되어 있는데, 시왕을 함께 표현하지 않은 점에서 이 불화가 명부전의 후불화로 조성되어 지장보살상 뒤에 봉안된 지장보살 전용 불화임을 알 수 있다. 화기에도 ‘함풍팔년무오사월이십일일 지장정신성밀양동령재약산표충사대작불사봉안우차지장전(咸豊八年戊午四月二十一日 地藏幀新成密陽東嶺載藥山表忠祠大作佛事奉安于此地藏殿)’이라고 적혀 있어 1858년에 지장 전용 불화로 제작되었음을 명시하고 있다.

지장보살의 협시인 도명과 무독귀왕은 단지 권속의 일부처럼 처리하고 좌우의 4보살들이 더 중요한 협시로서 부각된 점도 특징이다. 즉 중앙의 지장보살삼존을 중심으로 시왕을 생략하고 좌우에 보살을 배치한 형식으로서, 지장보살도의 형식 중에서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다. 보살은 대개 4~8명이 표현되는데 한두 명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모습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존명의 구별이 어렵지만, 대체로 『불설예수시왕생칠경』에 등장하는 육광보살(六光菩薩), 즉 지장보살, 용수보살(龍樹菩薩), 구고관세음보살(救苦觀世音菩薩), 상비보살(常悲菩薩), 다라니보살(陀羅尼菩薩), 금강장보살(金剛藏菩薩)을 도상화한 것으로 본다.

의의와 평가

표충사 지장탱은 현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지장보살상 및 석조시왕상 등과 함께 1858년 대작불사(大作佛事)의 일환으로 조성된 사실이 ‘조상복장기(彫像腹藏記)’와 이 지장탱의 화기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전체적인 구도의 짜임새나 안료의 발색, 도상 구성 등 19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묘사력이 뛰어난 화격이 높은 불화이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한국의 사찰문화재』경상남도Ⅰ(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09)
『한국의 불화』통도사 말사편 하(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김정희, 일지사, 1996)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