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현등사 신중도 ( )

목차
관련 정보
가평 현등사 신중도
가평 현등사 신중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 보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도.
이칭
이칭
현등사 천룡탱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현등사신중도(懸燈寺神重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3년 09월 08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 보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도.
개설

2003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22㎝, 가로 123㎝. 1790년에 관허당 설훈(寬虛堂 雪訓), 용봉당 경환(龍峰堂 敬煥)이 조성한 불화로 화기상의 명칭은 “천룡탱(天龍幀)”이다. 화기에 의하면 이 그림이 원래 현등사 지장암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된 사실을 알 수 있으나 현재는 보광전에 봉안되어 있다.

이 불화는 녹색과 주홍을 주조색으로 한 간결한 2단 구도로, 상단에는 대범천왕과 제석천왕, 위태천이 배치되고 아래쪽에는 사천왕을 비롯하여 산신, 조왕신, 일궁 · 월궁천자와 명칭을 알 수 없는 신장상이 자리하고 있다.

내용

신중도에서 토착적인 민간신인 산신과 조왕신이 위태천의 협시로서 등장하는 것은 19세기 중엽 경부터 일반화되는데, 이 불화는 산신과 조왕신이 등장하는 매우 이른 예이다. 또한 도상은 ‘제석천룡합부탱’이지만 화기에 ‘천룡탱’으로 표기한 것은 신중도의 도상과 명칭이 합치되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이 불화를 제작한 설훈은 35년 이상의 화력(畵歷)을 지닌 인물로 현등사 청동지장보살좌상(懸燈寺靑銅地藏菩薩坐像) 등 각종 불상을 활발히 조성하였으며, 당시 본격화되던 경기 지역 불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의 계보는 용봉당 경환(龍峰堂 敬煥)과 상겸(尙謙)으로 이어진다. 경환은 1780년에 봉선사 대웅전불상중수개금(奉先寺大雄殿佛像重修改金) 불사 이후 스승과 제자 관계로 보일만큼 모든 불사에 빠짐없이 함께하고 있다.

설훈의 화풍은 세밀하면서도 탄력적인 필선,선명한 채색의 대비, 화려하고도 섬세한 문양을 특징으로 하지만 현등사 신중도는 비교적 간략하게 묘사되었다. 신중들의 얼굴에는 고운 살빛을 올리고 유연한 필선으로 표정들을 하나하나 잡아냄으로써 단순한 표현 속에 풍부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현등사 신중도는 경기 지역 불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익을 담당했던 설훈의 작품으로 의미가 있다. 도상적으로는 19세기 중반에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산신과 조왕신이 출현하고 있어 19세기 신중도 도상의 변화를 예고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33 봉선사 본말사편(성보문화재연구원, 2004)
집필자
이승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