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환사건 ()

외교
사건
1884년 일본의 민간 선박 반리마루[萬里丸]에 의한 울릉도의 목재 반출 및 대금 지불 문제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이 외교적으로 대립한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84년 일본의 민간 선박 반리마루[萬里丸]에 의한 울릉도의 목재 반출 및 대금 지불 문제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이 외교적으로 대립한 사건.
내용

동남제도개척사(東南諸島開拓使) 김옥균(金玉均)은 1884년 울릉도의 개발 자금 조달을 위해 울릉도 삼림 등의 이권을 담보로 차관 교섭을 진행하고자 도일하였다. 그 수행원이자 개척사 종사관인 백춘배(白春培)는 일본의 민간 선박 반리마루[萬里丸]의 선장으로 미야자키현(宮崎縣) 사람인 와타나베 스에키치(渡邊末吉)와 계약을 맺고 울릉도의 목재를 고베(神戶)까지 운송하는 일을 맡겼다. 1885년 반리마루에 의해 목재는 고베로 반출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의 실패로 김옥균이 일본으로 망명하는 등 조선의 정국에 변화가 생기자 울릉도에서 반출된 목재의 처리를 둘러싸고 조일 양국 간에 외교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886년 반리마루의 선장인 와타나베는 조선 측이 목재의 운송 대금을 지불하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에 보호를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백춘배와 맺었던 계약 문서를 제시하며 조선 정부에 운송 비용 전액의 지불을 요구했다. 김옥균 관련자들이 일방적으로 맺었던 조약은 무효라는 입장을 견지하던 조선 정부는 이를 거부하였다. 그러나 거듭되는 일본 정부의 보상 요구에 외교적 부담을 느낀 조선 정부는 1889년 고베로 운송된 목재를 경매에 붙여 대금의 배상에 충당하기로 합의함으로써 반리마루사건을 둘러싼 문제는 마무리되었다. 목재는 고베에서 경매에 붙여져 3,512엔에 낙찰되었고, 와타나베에게는 그가 청구했던 3,178엔 27전 8리에서 최초 신고에서 누락되어 있었던 부분을 제외한 2,667엔 84전이 교부되었다.

의의와 평가

반리마루사건은 일본인에 의한 울릉도 목재의 무단 벌채 및 반출을 막고 계약에 의해 울릉도의 목재를 판매하려고 추진한 김옥균의 울릉도 개발 정책 추진 과정 속에서 발생하였다. 갑신정변 실패의 영향으로 조선과 일본 양국 간에 반리마루사건이라는 외교문제가 일어났지만, 조선정부는 배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울릉도 개척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갔다.

참고문헌

『日本外交文書』 제19권-문서 116~121(東京: 日本外務省, 1970).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해·영토 인식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박은숙, 『동북아역사논총』 제36호, 동북아역사재단, 2012)
집필자
이승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