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오리돈대 ()

분오리돈대
분오리돈대
건축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강화유수 윤이제가 축조한 돈대. 성곽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오리돈대(分五里墩臺)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근대정치국방/국방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9년 03월 29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산 185-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강화유수 윤이제가 축조한 돈대. 성곽시설.
개설

강화도는 삼국시대 이래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조선시대에도 17세기∼18세기에 해안을 따라 6개의 진(鎭)과 7개의 보(堡), 9개의 포대(砲臺)와 함께 53개 돈대가 설치되었다. 이 돈대는 강화도의 가장 남쪽에 있는 돈대이다.

역사적 변천

돈대는 적의 동태를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 접경 지역이나 해안 지역 등의 군사 요충지에 세운 초소이다. 이 돈대는 조선 숙종 5년(1679)에 강화유수 윤이제(尹以濟, 1628∼1701)가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 1634∼1684)의 명령을 받아 경상도 군위의 어영군 8천 여명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전한다.

강화도 남쪽에 자리한 초지진(草芝鎭)의 외곽포대로, 망월돈대(望月墩臺), 계룡돈대(鷄龍墩臺), 굴암돈대(屈巖墩臺), 송강돈대(松岡墩臺) 등과 함께 영문(營門)에 속하였지만, 돈장(墩將)을 따로 두어 지키게 할 정도로 중요한 돈대였다. 현종 때에 강화유수 서필원(徐必遠, 1614∼1671)이 정비하였고, 최근에도 일부를 보수하였는데,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내용

이 돈대는 해안으로 돌출한 산 능선의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를 향해 돌출하여 곶을 이룬 지형에 자리하였으므로, 시야가 넓으면서 좌우에는 깊이 굽은 갯벌의 주변으로 포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지에서 진입할 때는 평지에 가깝지만 해안은 절벽과 급경사로 이루어져 있다. 평면이 네모난 여느 돈대와는 달리 지형을 그대로 살려 성벽을 쌓았기에, 평면은 반달 모양이며, 특히 동쪽 성벽 일부는 자연암반 위에 쌓았다.

성벽은 거칠게 다듬은 네모난 모양의 돌을 안팎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84보라고 전하지만,지금의 안쪽 둘레는 약 70m이고 너비는 약 12.8m이다. 바다를 향해서 4개의 포좌가 설치되어 있다. 성벽 위에 쌓은 성가퀴인 치첩(雉堞)도 37개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일부만 남아 있을 뿐이다. 한편 돈대의 성문은좌우에 화강석을 잘 다듬어 만든 커다란 무사석(武砂石)을 쌓고서, 그 위에 보 형식으로 긴 돌을 건너질러 놓은 모습이다. 성문 안에는 문을 설치하였던 흔적으로 장군목(將軍木)을 끼웠던 구멍이 남아있다. 현재 돈대의 평균 높이는 2.62m이고, 입구 부분의 최고 높이는 약 4m이다.

의의와 평가

이 돈대는 군사 요충지인 강화도에 설치된 군사시설의 하나로, 조선 숙종 때의 축성 기술을 잘 간직하고 있는 국방 유적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건축문화재』2─경기편(김홍식‧김왕직, 기문당, 2012)
「숙종초 강화도 돈대의 축조와 그 의의」(배성수,『조선시대사학보』27, 2003)
「17세기 강화도 방어체제의 확립과 진무영의 창설」(송양섭,『한국사학보』13, 2002)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도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