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도리형식 (민도리)

민도리형식 1
민도리형식 1
건축
개념
기둥 상부에 주두를 비롯한 살미와 첨차, 익공 등의 공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이 직접 보를 받도록 한 목조 구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기둥 상부에 주두를 비롯한 살미와 첨차, 익공 등의 공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이 직접 보를 받도록 한 목조 구조.
내용

한국의 목조건축은 기둥 상부가 를 받도록 하는 부분의 구성에 따라 크게 포집과 익공집, 민도리집으로 구분된다. 포집과 익공집은 모두 기둥 상부에 주두가 놓이고 살미첨차, 익공 등의 부재를 조합하여 보를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민도리집은 이러한 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기둥 상부가 바로 보를 받도록 한 구조로 주택을 비롯하여 격식이 낮은 건물에 사용된 가장 간단한 형식의 건축 유형에 속한다.

민도리집은 다시 굴도리집과 납도리집으로 세분한다. 굴도리집은 둥근 단면의 도리를 사용한 것으로 도리 아래에는 장혀라 부르는 장방형 단면의 부재를 사용한다. 즉 굴도리집 구조는 기둥 상부에 사개를 틀고 이 사개에 보와 장혀를 직각으로 결구한 다음 굴도리를 올려 서까래를 받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납도리집은 네모난 단면의 도리를 사용한 것으로 기둥 상부에 튼 사개에 보와 납도리를 직접 결구한 구조이다. 따라서 굴도리집은 납도리집에 비해 구조가 좀 더 복잡하고 격식이 높으며, 납도리집은 격식이 낮은 건물에 사용하는 구조이다.

민도리집 구조에서는 별도의 창방을 사용하지 않으나 굴도리집 구조에서는 장혀, 납도리집 구조에서는 납도리가 창방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기둥 위에 결구한 보 아래에는 보와 같은 방향으로 짧은 장방형 단면의 부재를 끼워 넣기도 한다. 이 짧은 부재는 기둥과 보의 결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 보아지’라고 부른다. 한편 ‘소로수장집’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굴도리집 구조의 장혀 아래 또 다른 장혀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장혀와 장혀 사이에 소로를 끼워 장식한 집을 말한다.

연원 및 변천

민도리집 구조는 가장 간단한 목조주택 구조방식이다. 그 기원은 목조건축의 시작과 함께 하는데, 삼국시대 고구려의 고분벽화 중에서 기둥 위에 바로 도리를 얹은 민도리집 구조를 볼 수 있다. 이후 민도리집 구조는 세부적인 결구 방식에 변화가 있었으나, 가장 간단한 형식의 구조로서 주택을 비롯하여 궁실과 관아, 향교, 서원 등의 부속건물 등 비교적 격식이 낮은 건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김도경, 현암사, 2011)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의장』 (주남철, 일지사, 1997)
『한국건축대계Ⅴ-목조-』 (장기인, 보성문화사, 1991)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도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