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창사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용신과 관련하여 사찰이 세워진 내력을 풀어주는 불교설화.
내용 요약

용신창사설화는 용신과 관련하여 사찰이 세워진 내력을 풀어주는 불교설화이다. 『삼국유사』에 많이 발견되며, 용신신앙이 정착된 상황에서 불교라는 새로운 신앙이 유입되어 사찰이 창건됨에 따라 두 신앙체계가 충돌한 결과로 이 이야기가 창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야기 유형은 용신을 기리는 사찰이 지어지는 이야기, 용신을 호법으로 교화시키는 이야기, 독룡을 퇴치하고 사찰이 세월진 이야기 등으로 구분된다. 『삼국유사』의 사찰설화에 등장하는 용은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룡, 나라를 지키는 호국룡, 퇴치의 대상인 독룡 등으로 나타난다.

정의
용신과 관련하여 사찰이 세워진 내력을 풀어주는 불교설화.
내용

사찰주3주5에 용이 관련된 설화(說話)『삼국유사(三國遺事)』에 많이 등장하지만, 다른 주4에도 비슷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송고승전』의 선묘설화(善妙說話)는, 용이 부석사(浮石寺)의 터전 마련과 창건에 결정적인 구실을 한 점이 언급되어 있어 소중한 사례가 된다. 의상(義湘)주7하던 선묘는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알고 그에게 줄 주8과 여러 물건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의상의 배는 이들을 싣기도 전에 신라로 떠나갔다. 의상은 주1하며 상자를 바다에 던졌고, 배에 이르러서 배를 호위하는 용이 되어 배가 무사히 신라에 도착하게 하였다. 이후 의상이 신라에서 주9을 공부하기에 적절한 터를 구하자, 선묘는 의상을 보호하는 뜬 돌[浮石]이 되어서 부석사의 기틀을 닦았다고 하는 내용이다. 선묘는 옷가지 · 용 · 암석 등으로 변화하면서 주2의 신이 되었으며, 그렇게 해서 마침내 부석사를 창건하는 계기를 부여한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다.

감은사(感恩寺)주11도 용신창사설화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감은사를 짓게 된 주12은, 문무왕(文武王)이 죽어서 왜적을 막는 호국룡이 되기 위해 바다에 무덤을 쓰고 절을 짓게 했다고 하는 것이 요점이다. 문무대왕의 호국룡이 감은사의 금당 계단까지 넘나들 수 있도록 구멍을 뚫어 두었다고 하는 것이 바로 감은사 주13의 유래담이다. 주14과 관련지어 절을 짓는 내력을 말한 것이다.

그리고 『삼국유사』 「황룡사장륙(皇龍寺丈六)」에는 용신의 출현으로 절을 지은 내력이 있다. “신라 제24대 진흥왕 즉위 14년(553) 계유 2월, 장차 궁궐을 용궁(龍宮)의 남쪽에 지으려 하는데 주15이 그 땅에 나타났다. 이에 고쳐서 절을 짓고 황룡사(皇龍寺)라고 하였다. 기축년(569)에 이르러 담을 두르고 17년 만에 바야흐로 완성하였다.”에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에도 용신과 관련하여 절이 지어진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신라 제49대 왕 헌강왕(憲康王)주16에 갔다가 구름과 안개가 자욱해져 길을 잃었는데, 동해 용왕을 위한 절( 망해사(望海寺))을 세웠더니 구름과 안개가 걷혔다. 그래서 그곳의 이름이 개운포가 되었다. 그리고 동해 용왕이 이를 기뻐하며,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왕의 앞에서 춤을 추며 음악을 연주하였다. 용왕의 아들 가운데 한 명이 바로 처용(處容)이다.

유형

용신창사설화는 사찰을 세우는 과정에서 토속적인 용신신앙이 불교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한 지역에 용신신앙이 정착된 상황에서, 불교라는 새로운 신앙이 유입되어 사찰이 창건되는 사건으로 인해 두 신앙 체계가 충돌한 결과가 용신창사설화로 이야기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1) 용신신앙 기반 이야기 용신신앙의 내용이 설화의 중심을 차지하면서 용신을 위해 사찰이 창건되었다는 결말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있다. 『삼국유사』 망해사 · 황룡사 · 대화사 · 감은사(感恩寺) 등의 창사설화가 이에 속한다.

(2) 용신신앙이 불교신앙 체계로 흡수되는 주17‧보살(菩薩)[^18]이나 주19주20하는 과정에서 주21를 용신신앙 터에 잡으면서 용신을 호법으로 주22시키는 내용이다. 『삼국유사』의 부석사 · 금산사(金山寺) · 작갑사 등의 창사설화가 그러하다.

(3) 용신신앙과 불교가 갈등하고 충돌하는 경우 불교가 용신을 패배시키고 사찰을 창건했다는 내용이다. 이때의 용은 주23으로 퇴치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삼국유사』의 통도사(通度寺) · 옥룡사(玉龍寺) · 보림사(寶林寺) · 만어사(萬魚寺) 등의 창사설화가 그러하다.

이처럼 용신신앙과 불교 두 신앙의 주24 양상 및 지역적 특색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로 전래한다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에서 용신신앙은 정통성과 권위, 농경 사회에서의 물을 다스리는 신으로서 존재했다. 그런데 이 이야기들에서는 전통적인 용신신앙이 불교적으로 재해석되면서 복잡한 양상의 상징성을 띠게 되었다. 이야기의 구성으로 보면, 용은 주25을 수호하는 호법의 역할이나 나라를 지키는 주26의 기능을 담당하고, 절이 지어지는 유래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다양한 모습에서는 전통적인 용 신앙이 불교의 용 관념과 대립하면서 습합 되는 당시 상황을 추론해 볼 수 있는데, 그 양상에 따라 용이 불법과 국토의 수호자가 되는 선룡(善龍)으로 나타나거나 불법에 귀의하지 않는 독룡으로 변하기도 한 것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신라의 불국토사상(佛國土思想)을 수용하며 민간신앙(民間信仰)을 불교화시키려는 관점으로 창사설화를 주27으로 수록하였고, 구비문학(口碑文學) 내에서는 비교적 용신신앙의 주28 형태가 나타나며 불교적 신앙 체계에 주29당하지 않는 민간신앙의 맥이 이어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유사』의 이야기가 불교에서 유래하였는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용이 불법도 수호하고 불국토인 나라도 수호한다는 기능적 차이는 주목할 만하다. 용이 나라를 지킨다는 점에서 같고 불교를 주30하고 나라를 수호하는 것이 국사(國師)나 왕에게 부여된 임무였으므로 이러한 차별성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주31주32을 전수하는 데도 용과의 주33을 가진 사례들( 「명랑신인(明朗神印)」 ·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 「원성대왕(元聖大王)」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호법룡(護法龍) 신앙이 널리 퍼진 가운데 이러한 설화가 탄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송고승전(宋高僧傳)』
『삼국유사』

단행본

황패강, 『신라불교설화연구』(일지사, 1976)
이준곤, 『한국 용신창사 설화의 역사 민속학적 연구』(문현, 2010)

논문

송봉호, 「전통신앙과 불교의 대립에 관한 연구 -구룡관련 창사설화를 중심으로-」(『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 2003)
이준곤, 「龍神創寺說話의 형성과 의미」(『구비문학연구』 3, 한국구비문학회, 1996)
천혜숙,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실천민속학연구』 29, 실천민속학회, 2017)
주석
주1

신불(神佛)이나 자기 마음속에 맹세하여 소원을 세움. 또는 그 소원. 우리말샘

주2

법을 수호함. 우리말샘

주3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우리말샘

주4

기록되어 전해지는 설화. 우리말샘

주5

건물이나 조직체 따위를 처음으로 세우거나 만듦. 우리말샘

주6

집터가 되는 땅. 우리말샘

주7

기쁜 마음으로 공경하며 사모함. 우리말샘

주8

승려가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 우리말샘

주9

종교의 교리를 적은 책. 우리말샘

주11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주12

일정한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 까닭. 우리말샘

주13

절을 새로 세움. 우리말샘

주14

바다에 살며 비와 물을 맡고 불법을 수호하는 용 가운데의 임금. 우리말샘

주15

누런빛의 용. 우리말샘

주16

지금의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던 포구(浦口). 신라 때 국제 무역항의 하나이자 처용 설화를 낳은 곳으로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18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우리말샘

주18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우리말샘

주19

덕이 높은 승려. 우리말샘

주20

불법의 정도(正道)를 구함. 우리말샘

주21

특정 종교에서 신성시하는 장소. 종교의 발상지나 순교가 있었던 지역으로 기독교의 예루살렘, 이슬람교의 메카 등이다. 우리말샘

주22

부처의 진리로 사람을 가르쳐 착한 마음을 가지게 함. 우리말샘

주23

독기를 품은 용. 우리말샘

주24

철학이나 종교 따위에서, 서로 다른 학설이나 교리를 절충함. 우리말샘

주25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6

나라를 보호하고 지킴. 우리말샘

주27

가려서 따로 나누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28

없어지지 아니하고 남아 있음. 우리말샘

주29

두려워서 굴복함. 또는 황송하여 엎드림. 우리말샘

주30

국가나 공공 단체 또는 사회단체 등이 어느 행위나 물건에 대하여 인정함. 우리말샘

주31

불교의 출가 수행자. 우리말샘

주32

밀교에서 행하는 호마(護摩), 염송(念誦) 따위의 수행 방법. 우리말샘

주33

친척으로 맺어진 인연과 같은 성질.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