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침은 아래위에 굽과 잔 꽂이를 둔 동합금의 주물제품으로 잘 다듬은 표면에 그림을 새겼다. 밑면은 부식되어 자세하지 않으나, 윗면은 선조기법으로 새긴 무늬가 가득하다. 가장자리에 톱니무늬를 두르고 그 안쪽에 꽃을 들고 있는 인면조(人面鳥), 용, 사슴, 새, 미상의 동물, 연꽃과 나무를 넣었다. 지름 14.7㎝ 높이 3.1㎝로 납작하지만 넓은 굽을 두어 안정적이며, 잔 꽂이가 접시모양의 잔 받침의 가장자리보다 살짝 높아 균형미를 지녔다.
은잔은 반구형에 가깝게 만든 주물제품이며, 바닥에 따로 만든 원통형 굽을 땜으로 붙였다. 주물 이후에 가질하여 표면을 다듬었으며, 겉면을 3단으로 나누어 선조기법으로 그림을 가득 새겼다. 하단에는 굽을 감싸며 활짝 핀 8엽의 연꽃을 두고, 입술 아래의 상단에는 인동당초문 띠를 둘렀으며, 중간에는 세 마리의 용이 줄지어 있다. 높이 5.6㎝, 입 지름 8.6㎝로 적당한 크기이며, 그대로는 좁은 굽 때문에 불안정해 보일지라도 받침에 끼워두면 안정적이다.
은제 잔 뚜껑은 흡사 삿갓모양이며, 은으로 만든 본체 및 꼭지와 금으로 만든 꼭지받침을 조립하였다. 뚜껑 본체에 꼭지받침을 올리고, 꼭지의 촉을 위에서 꼭지받침과 본체에 관통시켜 안쪽에서 두들겨 펴 리벳처럼 고정시켰다. 뚜껑 본체와 꼭지는 주물제품이며 가질하여 표면을 다듬었다. 표면의 그림과 조각은 가장자리에서 꼭지까지 위로 올라가며 4단으로 구성되었다.
선조기법으로 새긴 그림은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된다. 하단에는 산봉우리로 4분할한 구획을 두고 그 사이사이에 새와 사슴 그리고 나무를 넣었다. 상단에는 활짝 핀 8엽의 연꽃을 두었다. 그 위에 꼭지받침인 만개한 8엽의 연꽃 투조판이 올라가고, 중앙에 꼭지인 8엽의 연꽃봉우리가 솟아있다. 은빛과 금빛을 대비시키고 선각에서 환조로 피어나도록 한 뛰어난 조형성이 돋보인다.
동탁은잔의 그림은 불교적 혹은 도교적인 것으로 보거나, 아니면 이를 융합한 세계관의 표현일 것으로 판단한다. 백제의 산물 혹은 중국 남조에서의 수입품으로 생산지 판단이 엇갈린다. 하지만 주조와 땜질 그리고 대갈못 결합 등의 복합된 제작기법이 중국제품에서 확인되지 않고, 직선적인 중국의 것과 다르게 한반도 출토품은 곡선이 강조되어 있으므로 백제에서 만들었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무령왕릉 출토 동탁은잔과 형태가 유사한 도제 탁잔은 백제영역에서 나주 복암리 1호분과 고창 봉덕리 1호분 4호 돌방에서 나왔고, 신라영역에서 대구 달성 55호분 출토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