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광사 석탑지 ( )

목차
고대사
유물
신라 하대에 포항 법광사에서 비구 향조(香照)의 시주로 석탑을 건립하고 또 수리한 사실과 조선시대에 2회에 걸쳐 수리한 사실을 적은 탑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하대에 포항 법광사에서 비구 향조(香照)의 시주로 석탑을 건립하고 또 수리한 사실과 조선시대에 2회에 걸쳐 수리한 사실을 적은 탑지.
내용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법광사 석탑지는 2매인데, 입패(立牌) 모양이며 재질은 납석(蠟石)이다. 그 4면에 명문이 해서로 음각되어 있다.

제1석에는 법광사 석탑이 대화(大和) 2년 828년(흥덕왕 3) 비구 향조(香照)와 비구니 원적(圓寂)의 시주로 건립한 사실과 더불어, 846년(문성왕 8년) 9월에 옮겨 세우고 수리한 사실을 적어 놓았다. 846년 기록에서는 단월(檀越: 시주)이 대대로 정토에 왕생하고 문성왕의 복과 수명이 영원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또한 사리 22매를 넣었는데, 상좌 도흥(道興)이 일을 주관하였다. 그리고 단월로 성덕대왕전(成德大王典)의 향순(香純)임을 밝혀 놓았다.

성덕대왕은 추봉된 균정(均貞)으로 문성왕의 할아버지다. 따라서 성덕대왕전은 균정의 제향(祭享)을 관리하기 위한 원당전(願堂典)으로 여겨진다. 이 점에서 미루어 법광사는 늦어도 828년 탑을 조성하던 시기부터 균정 가계의 원당 사찰로서 역할을 하였으며, 그 자손인 신무왕·문성왕에 이르도록 계속되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제2석에는 조선시대에 두 차례에 걸쳐 석탑을 중수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1698년(숙종 24)에는 승려 명옥(明玉)과 담학(談學)이 주관하여 수리하였고, 1747년(영조 23)에 다시 수리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대언(大言)이 기록하였다.

한편 탑지와 함께 발견된 납석제 사리호(舍利壺)가 있는데, 그 측면에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陁羅尼)’의 글귀가 새겨져 있다. 8~9세기 『불정존승다라니경』을 새긴 당주(幢柱)가 당(唐)나라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과 관련이 깊다. 22매의 사리는 여기에 봉안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절터만 남은 포항 법광사지는 2008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본 삼층석탑을 비롯 금당의 초석과 부도 귀부 등이 남아 있다. 지금의 법광사는 1936년 새로 조성한 사찰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청천집(靑泉集)』
『한국금석문집성 14 -신라10 조상명-』(김복순·한정호, 한국국학진흥원, 2012)
『역주 한국고대금석문』Ⅲ(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한국의 불교미술』(황수영, 동화출판공사, 1974)
「신라 법광사석탑기와 어룡성의 원당 운영」(박남수, 『한국고대사연구』 69, 2013)
집필자
곽승훈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