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매리 절터 ( 절터)

고대사
유적
북한 함경남도 신포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찰터.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신포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찰터.
내용

오매리절터는 함경남도 신포시 오매리의 압해산(押海山, 해발 432m) 기슭에 있다. 절터의 규모는 남북 100m, 동서 50m로서 면적은 5000㎡ 정도가 된다. 절에 배치된 건물의 방향이 동쪽을 향하고 있어 남아 있는 건물터도 동서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남북으로 놓인 장방형의 형태이며, 고구려 가람배치의 전형인 ‘1탑3금당’의 형식이다.

절터의 가운데에 4각 탑터가 있고, 4각탑의 뒤에는 본전(本殿)이 있는데, 중금당(中金堂)에 해당한다. 중금당 좌우로는 동당(東堂)과 서당(西堂)에 해당하는 건물터가 자리하고 있다. 4각탑터의 남쪽에는 문터가 있다. 이 문터는 4각탑터를 중심으로 남북에 놓인 중금당과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오매리절터에서 1988년에 탑지(塔誌)로 추정되는 금동판 명문이 발견되었다. 명문의 내용은 죽은 왕의 영혼이 도솔천에 올라 미륵에 참배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특히 명문에 ‘□화삼년(□和三年)’이라는 금동판의 제작 연대를 알려주는 단서가 있어 주목을 받았다. 학계의 연구 결과 546년(양원왕 2)과 604년(영양왕 15)이 유력한 것으로 밝혀졌다. 금동판이 탑에 부착한 탑지라면 그 제작 연대는 오매리절터의 창건연대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특징과 의미

오매지절터는 현재 남아 있는 고구려의 지방 사찰터로는 드물게 그 정확한 규모와 건물배치의 양상이 조사되었다. 또한 사찰의 창건 연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탑지 성격의 금동판 명문이 발견되어 향후 사찰의 창건 연대뿐만 아니라 창건 배경 등이 규명될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북녘의 문화유산』(국립중앙박물관, 2006)
『고구려의 성과 절터』(방학봉, 신성출판사, 200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1)-고구려·백제·낙랑 편』(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신포시 절골터 금동판 명문 검토」(이승호, 『목간과 문자연구』 13, 2015)
집필자
장창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