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벽산단제선사전심법요 ()

불교
문헌
문화재
고려 말기, 목판에 새겨 인쇄한 법어집.
이칭
약칭
단제선사전심법요, 황벽선사전심법요, 전심법요, 단제심요
문헌/고서
편찬 시기
857년
간행 시기
1372년
저자
황벽(黃檗) 희운(希運)
편저자
배휴(裴休)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황벽산단제선사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
판본
목판본
표제
전심법요(傳心法要)
소장처
청주고인쇄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20년 3월 6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내용 요약

황벽산단제선사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는 고려 말기, 목판에 새겨 인쇄한 법어집이다. 이 법어집(法語集)은 당나라 때 선풍(禪風)을 떨친 황벽(黃檗) 희운(希運) 선사(禪師)의 설법을 당시 지방 수령이었던 배휴(裴休)가 듣고 편찬한 것이다. 이 책은 고려 말기에 일본인 승려 중암(中菴) 수윤(壽允)이 글씨를 새겨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발문을 부탁하고, 14년 뒤 고위 관리들의 시주를 얻어 간행된 책으로 인쇄술과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정의
고려 말기, 목판에 새겨 인쇄한 법어집.
저자 및 편자

설법자 황벽 희운은 당나라의 승려로서 시호(諡號)는 단제선사(斷際禪師)이다. 백장(百丈) 주1의 문하에서 큰 깨달음을 얻은 뒤 주2에서 법을 전하여 이름을 떨쳤다.

황벽 희운의 설법을 편집하고 서문을 쓴 주3는 문장과 글씨에 능한 고위 관리이며, 수행 이력도 많아서 ‘황벽형의(黃檗形儀)’라는 화두(話頭)의 주인공인 인물이다. 규봉(圭峰) 주4의 『원각경약소초(圓覺經略疏鈔)』,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등에도 서문을 썼다.

서지사항

목판에 새겨 닥종이에 인쇄한 책으로 가로 15.7㎝, 세로 24.2㎝의 크기이다. 책등 쪽에 다섯 구멍을 뚫어 실로 제본한 주5이다. 『전심법요(傳心法要)』와 『완릉록(宛陵錄)』을 합본하였는데 표지 제목은 “전심법요(傳心法要)”로 되어 있다.

본문의 한 면은 16자 9행이며 행마다 계선(界線)이 있다. 열람자가 책을 읽으며 써넣은 것으로 보이는 7언(七言) 게송(偈頌)이 본문의 외곽선 위에 군데군데 적혀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대중(大中) 11년[857년] 배휴가 쓴 서문에 의하면, 자신이 회창(會昌) 2년[842년] 장쑤성[江西省] 종릉(鍾陵: 지금의 난창[南昌] 부근)의 수령으로 부임하였을 때 황벽 선사를 가까운 용흥사(龍興寺)로 초빙하여 아침저녁으로 도(道)를 물었고, 대중 2년[848년] 안후이성[安徽省] 완릉(宛陵: 지금의 쉬안청[宣城] 부근)의 수령일 때도 개원사(開元寺)에 모셔서 법을 전해 받았다고 한다. 물러나와 기억나는 대로 기록해 두었다가 선사가 입적한 뒤, 제자들에게 자신의 기록이 선사의 주6과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편찬한다고 하였다.

이 책을 고려에서 인쇄하게 된 경위는 목은 이색이 임자년[1372년]에 쓴 발문에 상세하다. 그에 따르면 중암 수윤이라는 일본인 승려가 주7을 위해 중국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고려에 머물고 있었다. 소지하였던 『전심법요』와 『완릉록』을 널리 전하기 위해 직접 새겨서 목은에게 발문을 부탁하였다. 그로부터 14년이 지나서야 이를 인쇄하기에 이른 것이라 한다.

발문 뒤에 시주자로 이름이 기록된 주8, 염흥방(廉興邦), 윤환(尹桓)은 모두 당대의 고위 관리들인데, 염흥방은 일본인 승려 중암에게 거처를 제공한 이라고 목은은 밝히고 있다.

구성과 내용

첫 장을 열면 “황벽산단제선사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라는 제목 아래 배휴의 서문이 나오고 바로 본문으로 이어진다. 내용은 “모든 부처님과 일체 중생은 오직 한 마음일 뿐 다른 법은 없다.”는 단제선사가 자신에게 들려준 법문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행해진 자신과 선사 사이의 문답과 설법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선사가 강당에 올라 대중을 상대로 행했을 상당법어(上堂法語)도 실려 있다.

이어서 “황벽단제선사완릉록(黃檗斷際禪師宛陵錄)”이라는 제목으로 배상공(裴相公)과 선사 사이의 15차례 문답과 한 차례의 상당법어가 담겨 있다. 이 글은 배휴가 직접 기록한 것은 아니다. 가장 뒤에는 이색이 쓴 발문과 시주자 명단이 인쇄되어 있다. 중국과 한국 선종(禪宗)의 주류인 주9주10을 보여주는 지침으로서 주11에서 소중히 여기는 책이다.

의의 및 평가

고려 말기에 간행된 주12의 좋은 사례로서 인쇄술과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0년 3월 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태완 역주, 『황벽어록』(침묵의 향기, 2013)
일지 역주, 『傳心法要』(세계사, 1993)

논문

都賢喆, 「高麗末における明 · 日本との詩文交流の意義」(『東方學報』 93,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2018)
주석
주1

당나라의 선승(禪僧). 백장산(百丈山)에서 살았기 때문에 백장(百丈)이라고 부르고, 이름은 회해(懷海)이다. 육조(六祖) 혜능(慧能), 남악(南嶽) 회양(懷讓), 마조(馬祖) 도일(導一)에 이어 중국 선종(禪宗) 제9대 조사(祖師)이다.

주2

중국 푸젠성[福建省] 푸칭현[福淸縣]에 있는 산. 송대(宋代) 임제종(臨濟宗)의 근거지이다.    우리말샘

주3

배휴(裵休, 797~870)는 당나라 맹주(孟州) 제원(濟源)에서 출생하였고, 자는 공미(公美)이다. 문장에 능했고, 글씨도 잘 썼다. 선종(宣宗) 때 재상(宰相)으로 불교를 숭상하여 평일에 술과 고기를 먹지 않았고, 불교의 교리(敎理)를 연구하여 수만언(數萬言)을 연역(演繹)하였다. 규봉(圭峰) 종밀(宗密)과 황벽(黃檗) 희운(希運)에게 사사(師事)하였고 그들의 저작에 서문을 썼다.

주4

중국 당나라의 승려(780~841). 화엄종의 제5조로 규봉 대사(圭峯大師)라 칭하였다. 교선 일치(敎禪一致)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저서에 『원인론(原人論)』, 『원각경소(圓覺經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따위가 있다.

주5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    우리말샘

주6

중생을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교법(敎法)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부처의 진리를 구함.    우리말샘

주8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주9

중국 당나라 때 임제의 종지(宗旨)를 근본으로 하여 일어난 종파    우리말샘

주10

깨달음을 얻기 위한 불교의 조사(祖師)들이 선지식(禪知識)을 크게 떨치는 일을 말한다.

주11

참선(參禪)으로 자신의 본성을 구명하여 깨달음의 묘경(妙境)을 터득하고, 부처의 깨달음을 교설(敎說) 외에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중생의 마음에 전하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중국 양(梁)나라 때 달마대사(達磨大師)가 중국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중엽에 전해져 구산문(九山門)이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주12

불교의 교리를 밝혀 놓은 전적(典籍)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