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력사문법

정치·법제
문헌
월북 국어학자 홍기문(1903-1992)이 국어의 역사적 변화를 어음론과 형태론으로 나누어 서술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월북 국어학자 홍기문(1903-1992)이 국어의 역사적 변화를 어음론과 형태론으로 나누어 서술한 학술서.
서지적 사항

1책, 410면, 1966년 2월 30일 평양 사회과학원 출판사 발행. 머리말 부분은 따로 없고 판권지에 심사자가 렴종률로 밝혀져 있다. 1999년 한국문화사에서 이 책을 그대로 복제하여 발행하였는데 인쇄 상태가 좋지 않아 알아볼 수 없는 곳이 많다.

내용

책의 구성은 전체 2장, 각 장별 5절로 되어 있다. 제1장 어음론은 고대 어음 현상에 대하여 추정적인 설명을 한 뒤, 훈민정음 창제 시기를 중심으로 한 어음 현상과 그 이후의 변천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훈민정음의 문자적 고찰을 포함하였다. 제2장 형태론 역시 고대어의 문법 형태에 대하여 추정적인 설명을 한 뒤,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문헌에서 관찰되는 품사 부류와 여러 문법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 시기 문법 형태 및 범주의 변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책에서 홍기문이 취한 기본적인 태도는 언어의 변천을 상식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역사적으로 그 변천의 실마리를 찾아 전체를 연결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고대어의 음운 체계를 최소화하여 기본 모음은 ‘ㅣ, ㅏ, ㅓ, ㅗ, ㅜ’였고 자음에서는 된소리와 유기음이 없었으며 ‘ㄱ, ㄷ, ㅂ, ㆁ’ 등의 받침도 후대에 발달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명사의 끝모음을 기본형(ㅣ), 완결형(ㅏ/ㅓ), 존칭형(ㅗ/ㅜ), 연속형(ㆍ/ㅡ)으로 나누어 여러 문법 형태가 이들 끝모음이나 실질 어휘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았다. 예를 들어 주격 조사(이)와 부사 파생 접사(-이)는 기본형 ‘ㅣ’에서, 호격 조사(아), 접속 어미(-아/어), 종결 어미(-아/어)는 완결형 ‘ㅏ/ㅓ’에서 발달하였고, 연결 어미 ‘-며’는 동사 ‘삼-’에서, ‘-뎌, -려, -져’ 등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는 동사 ‘디-[落]’에서 발달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이 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지금 사용하는 용어와 많이 다른데 체계 지향적인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상대 높임법을 ‘어계(語階)’, 직설, 명령, 의문 등의 문장 종류를 ‘어체(語體)’, 명제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어식(語式)’, 피동, 사동을 ‘어상(語相)’이라 하였다. 그리고 실질 어휘와 문법 형태(토)의 중간 성격을 갖는 부류를 ‘반명사’, ‘반동사’, ‘반형용사’ 등으로 분류하였다.

의의와 평가

지금까지 밝혀진 국어사적 사실에 비추어 보면 높임의 ‘-오-’를 상정하는 등 잘못된 기술이 많이 보이지만 향가, 이두 자료를 포함하여 많은 국어사 문헌 자료를 망라하여 체계적인 설명을 하였다. 이는 저자의 『정음발달사(正音發達史)』(1946), 『조선문법연구(朝鮮文法硏究)』(1947), 『향가해석』(1956), 『리두 연구』(1957) 등의 저술 내용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1966년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이 시작되기 직전 마지막 국어사 연구서라는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1945~1990)』 1∼4(김민수 편, 녹진, 1991)
집필자
이병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